또다시 맞이하는 부처님 오신 날.

 

부처님은 신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오지 않고, 인간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왔다.

 

인간의 모습으로 왔기에, 인간이 겪을 수 있는 온갖 고난들을 겪었다.

 

그러한 고난을 통해 부처님은 인류의 스승이 될 수 있었다.

 

부처님이 인간의 모습으로 오지 않고 신의 모습으로, 인도의 신화에서 말하는 비슈누의 환생으로

우리에게 왔다면 그는 신으로만 존재하지 인류의 스승으로는 존재하지 않았으리라.

 

인간의 모습으로 와서 인간이 겪을 수 있는 고통들을 겪었으며, 이를 극복해가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몸소 인간이 인간으로서 가야할 길을 보여주신 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인생의 고통들(苦)들이 모여서(集) 우리를 괴롭게 하지만, 그것을 없애서(滅) 진리의 경지(道)에 오르게 되리라.

 

이러한 단계에서 겪게 되는 우리의 일곱가지 마음들...

 

희노애락애오욕(喜怒哀樂愛惡欲)

 

이 중에서 통제를 잘못해 나락으로 떨어진 사람들이 많지 않은가.

 

이 중에서 자기가 원하는 감정만을 추구하는 사람이 많지 않은가.

 

이렇게 이들에게 세상을 그렇게 살지 말라고, 세상을 이렇게 살라고 말하는 스승이 필요한 시대가 아닌가.

 

말로는 멘토, 멘토 하지만, 진정 스승을 찾으려는 노력을 해봤는지 생각해보게 하는 부처님 오신 날이다.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지, 우리네 삶에서 덜어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이미 부처님은 말씀하시지 않았는가.

 

단지 부처님 오신 날만이 아니라, 평소의 생활에서도 우리는 이러한 스승의 가르침을 실천해야 하지 않겠는가.

 

스승은 있다. 다만 우리가 찾지 않을 뿐이다.

부처님 뿐만이 아니라, 예수도 공자도 또다른 다른 성인들도 모두 우리의 스승이 아니던가.

 

그런 스승들은 모두 하나로 통하지 않던가.

 

바로 잘 삶. 어떤 삶이 잘 삶인가. 다시 스승을 찾자.

 

스승을 찾아나선 선재동자처럼. 우리도 스승을 적극적으로 찾아나서자. 그러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더불어 그러한 스승들이 존재하는 곳, 절에 대해서도 종교를 떠나 한 번은 가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