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를 보면 공포에 휩싸이고.

 

세상엔 왜 이리도 끔찍한 일들이 많은지.

 

그런 일들이 하나하나 내 가슴을 파고들어, 내 마음의 파장을 깨고 있다.

 

굳이 "물은 답을 알고 있다"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신문을 보아도 좋은 얘기는 별로 없다.

 

세상의 비리들이, 그것도 모범이 돼야 할 사람들의 비리들이 무슨 감자줄기에 감자 딸려 나오듯 줄줄 나오는데...

 

하야 프로포폴이라는 이상한 약이 우리 사회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는 얘기가 나돌고.

 

삭막한 세상, 사람들이 피할 수 있는 곳이 없다는 생각 때문일까.

 

어쩌면 제대로 된 눈물을 흘려보지 않아서이지 않을까.

 

눈물조차도 만들어진, 남에게 보이기 위한 눈물이지 않을까.

 

마음 속에서부터 뿜어져 나오는 눈물을 흘려본 적이 있을까.

 

그러한 눈물은 우리의 마음을 씻어내줄텐데...

 

가식적인 눈물이 아닌, 마음 전부인 눈물.

 

그런 눈물이 그립다.

 

그런 눈물을 흘릴 수 있는 세상에 그립다.

 

문정희의 이번 시집에서는 "눈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왜 이리도 눈물이 많은지... 그런데 이 눈물은 가식의 눈물이 아니라 진실의 눈물이다.

 

마음의 눈물이다.

 

그래서 마음에 와 닿는다.

 

시인은 왜 이리도 눈물을 지니고 있었을까...

 

지금 세상, 다시 이런 눈물이 우리의 마음에 넘치는 것은 아닌지.

 

그런 눈물 중에 이 한 시... 길게 여운을 남긴 시...

 

비록 눈물이라는 말 한 마디도 나오지 않지만, 이 시에서 눈물이 보인다.

 

눈물이 느껴진다. 아주 깊고 슬픈 눈물이...

 

아들에게

 

아들아 / 너와 나 사이에는 / 신이 한 분 살고 계시나 보다

 

왜 나는 너를 부를 때마다 / 이토록 간절해지는 것이며 / 네 뒷모습에 대고 / 언제나 기도를 하는 것일까

 

네가 어렸을 땐 / 우리 사이에 다만 / 아주 조그맣고 어리신 신이 계셔서

 

사랑 한 알에도 / 우주가 녹아들곤 했는데

 

이제 쳐다보기만 해도 / 훌쩍 큰 키의 젊은 사랑아

 

너와 나 사이에는 / 무슨 신이 한 분 살고 계셔서 / 이렇게 긴 강물이 끝도 없이 흐를까

 

 

문정희, 찔레, 북인, 2008년. 29쪽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