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비쿼터스 시대가 온다고 한 지 몇 년이 지나, 우리는 정말로 유비쿼터스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이제는 직장에서도 집 안을 훤히 볼 수 있으며, 집 안에 있는 전자기기들을 직장에서도 조종할 수 있다. 언제 어디서나 접속이 가능하고 통제가 가능한 시대. 이런 유비쿼터스 시대가 되었고, 광고들도 이러한 유비쿼터스를 이야기하고 있다.
그런데 얼마 전 방송국과 은행의 컴퓨터가 마비되는 일이 있었다. 주요 방속국의 컴퓨터가 갑자기 정지하고, 부팅이 되지 않는 일과 은행 컴퓨터가 마비된 일. 이로 인해 우리나라는 몇 시간동안 대혼란에 빠지고 말았다.
해커에 의한, 해킹에 의한 마비라고 하는데, 해커가 누구인지는 아직도 밝혀지지 않았고, 그래서 북한의 소행이다, 아니 다른 해커의 소행이다 논의만 분분한 상황.
세계에서 가장(?) 전산망이 잘 만들어져 있는 나라. 국민들 대다수가 초고속인터넷망을 가지고 인터넷을 하는 나라. 하다못해 휴대전화(핸트폰)로도 인터넷을 하는 나라. 이 나라에서는 컴퓨터라는 편리한 기계가 우리들의 생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은행도, 기업체도, 관공서도, 방송국도, 학교도 모두 컴퓨터가 없으면 마비가 되고 만다. 이쯤되면 인간의 편리를 위해 만들어진 컴퓨터가 인간을 지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욱 무서운 사실은 컴퓨터로 제어되는 온갖 장치들이 많은 나라에서 이번처럼 해킹으로 인한 컴퓨터 정지가 대규모로 일어난다면, 더욱 주요한 기관의 컴퓨터가 고장난다면? 혹 교육기관의 컴퓨터가 먹통이 되고, 서버의 자료가 날라간다면... 이것은 생각하기도 싫은 끔직한 재난이 될 것이다.
정말 북한의 소행이라면? 이제는 재래식 무기나 핵무기가 아니더라도 한 나라를 마비시키는데는 컴퓨터 해킹 프로그램이면 끝이라는 얘기가 되고.. 이것은 우리나라 안보에도 치명적인 위협이 된다.
그런데도 우리는 해킹을 방지할 방법만 찾지 궁극적인 해결책은 찾지 않는다. 물론 지금 모든 컴퓨터를 없앨 수는 없다. 그것은 갑자기 원시시대로 돌아가자는 얘기밖에는 되지 않는다. 그렇더라도 컴퓨터에 의존하는 삶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은 마련해야 하지 않을까?
아무리 해킹 방지 프로그램을 개발한다고 하더라도 "경찰 열 명이 도둑 한 명을 못 막는다"는 속담처럼, 해킹 방지 프로그램이 발전할수록 해킹 기술도 발전할 가능성이 많기 때
문이다. 이는 사건이 터진 다음에 치료는 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방어는 할 수 없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컴퓨터로 인해 유비쿼터스 시대가 되어 아무 때나 어느 곳에서나 접속하여 움직일 수 있다는 유토피아적인 환상이, 반대로 아무 때나 어느 곳에서나 파괴할 수 있는 디스토피아 세상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이번 사건이 깨우쳐주고 있다.
유비쿼터스 시대를 계속 추구할 것인가? 아니면 웬델 베리처럼 컴퓨터 없는 세상을 꿈꿀 것인가?
(웬델 베리, 나에게 컴퓨터는 필요없다)
이 극과 극의 삶의 방식 속에서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어떤 삶이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가? 어떤 삶이 우리의 삶을 더욱 안전하게 하는가?
어떤 삶이 우리의 삶을 사람다운 삶으로 만드는가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때다. 이번 해킹 사건을 계기로 삶에 대한 근원적인 성찰을 해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