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보스코처럼 교육합시다
카를로 데 암브로지오 지음, 살레시오 여자 수도회 옮김 / 가톨릭출판사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젊은이들이 그저 사랑을 받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사랑받고 있음을 스스로도 알아야 합니다."

 

우리들은 아이들에게 사랑을 충분히 주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면서 그들이 왜 우리의 사랑을 알지 못할까 하고 답답해 한다.

 

그런데, 아이들은 우리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고 느끼지 못한다. 그들은 어른들이 말하는 사랑을 간섭으로 대치시키며 오히려 부담스러워하고 벗어나려 한다.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

 

이것은 그들이 스스로 사랑을 받고 있다고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돈 보스코가 강조하는 말이다. 아이들은 그저 사랑을 받는 것이 아니라 사랑받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어떻게 해야 아나?

 

답은 간단한데 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같이 좋아하라는 것이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어른의 잣대로 단호하게 자르거나 금지하고 있지는 않았는지...

 

물론 아이들이 좋아한다고 무조건 좋아하라는 말은 아니다. 안 되는 것은 안 된다고 해야 한다고 돈 보스코는 말하고 있으니 말이다. 여기서 좋아한다는 개념에는 이미 옳고 그름이 포함되어 있다고 해야 하겠다.

 

꼭 옳고 그름을 떠나서도 그런 판단을 할 필요가 없는 일에서도 어른들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일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경우 아이들은 어른들이 자신의 일에 간섭한다고 생각을 하고, 어른들에게서 멀어지게 된다. 그러면 자연스레 교육에서도 멀어지게 된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함께 좋아하면서 그 속에서 아이들에게 무언가 방향을 알려주고 아이들이 그 쪽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사람, 그런 사람이 훌륭한 교사락 할 수 있다.

 

돈 보스코는 나이들어서도 아이들과 놀이를 했으며, 늘 아이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아이들을 성심성의껏 대했다고 한다. 아이들을 귀찮아하지 않음. 진심으로 아이들을 사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의 행동은 그를 아이들로부터 사랑받게 했다.

 

아이들로부터 사랑받는 사람이 되라고 그는 말했다. 이 사랑받음, 이것은 곧 자신이 사랑을 주고 있음을, 아이들이 사랑받고 있음을 안다는 말이 되고, 이렇게 사랑받는 교사는 아이들에게 신뢰를 받기 때문에 그의 말, 그의 행동 하나하나는 교육에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지금 우리 교육의 모습을 보면, 이런 사랑의 관계가 교육에서 발현되고 있는가 하는 질문을 하게 된다. 그리고 대답은 부정적인 쪽으로 가게 된다. 이는 학교의 교사나 집안의 부모나 마찬가지이다.

 

부모나 교사는 아이들을 사랑한다고 하지만 아이들은 간섭한다고, 부당하게 자시들을 구속한다고 느끼고 있지는 않은지... 이는 우리가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전혀 좋아하지 않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 아닌지... 그래서 우리는 아이들에게 사랑을 받지 못하고, 단지 두려운 존재, 또는 형식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존재로만 있게 된 것은 아닌지 반성해야 한다.

 

자신이 사랑하고, 또 자신을 사랑한다고 느끼는 사람의 말은 아이들에게 커다랗게 다가온다. 그런 상태에서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사랑이 충만한 교육. 그런 교육이 이루어지는 사회는 행복이 넘치는 사회이리라. 아이들의 영혼이 건강한 사회이리라.

 

이 책은 이러한 돈 보스코의 교육관을 예를 들어서 보여주고 있는 책이다. 작은 제목만 읽어보아도 꼭 필요한 교육지침이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그래서 이 제목들만 실천하여도 이미 교육은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몇 개 제목만 보자.

 

청소년들에게 이상을 줍시다. 그들을 사랑한다는 것을 보여줍시다. 위기 때 도와줍시다. 친절은 마음을 사로잡습니다. 들을 줄 알도록 가르칩시다. 타인에게 관심을 갖도록 교육합시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말해줍시다. 용서할 줄 알도록 교육합시다. 감사할 줄 알도록 교육합시다.

 

더 많은 제목들이 있지만 이것만 보아도 이미 우리의 교육에 필요한 내용이 담겨 있지 않은가. 이 당연한 일들이 당연하지 않게 실천이 되고 있지 않으니...

 

청소년들이 사랑을 받고 있음을 알게 하고, 청소년들에게 교사나 부모도 스스로 사랑을 받을 수 있게 한다면 이런 교육은 자연스레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교육에 대한 좋은 말들이 넘치도록 많은, 그러나 돈 보스코 자신이 실천했던 그런 교육적 실천이기에 이 책은 단순한 이상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이 될 수 있음을, 현실이 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나중에 몇몇 장은 종교적인 이야기가 나오지만, 이런 종교적인 이야기는 이 책의 중심 인물인 돈 보스코가 사제이고(나중에 성인으로 시성이 되었다), 또 출판사가 가톨릭재단이기 때문이지만, 굳이 한 종교로 국한시켜서 읽을 필요는 없다. 이런 종교적인 얘기를 자신의 종교로 번안을 한다든지, 종교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이라면 영성으로 번역을 해서 읽어도 좋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