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인슈타인과 오펜하이머 - 원자폭탄의 창조자이자 파괴자이고 싶었던 두 천재 이야기
실번 S. 슈위버 지음, 김영배 옮김 / 시대의창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인슈타인이야 워낙 알려져 있어서 더 말할 것도 없다. 하다못해 우리나라 광고에까지 나오고 있으니 말이다. 그는 천재의 대명사다. 그리고 천재란 말 속에는 일반 사람과는 다른 모습이 담겨져 있다.
반면에 오펜하이머는 아는 사람만 아는 과학자다. 그가 원자폭탄 만들기의 책임자(이 책을 읽다보면 그는 책임자라기보다는 군의 대리인 역할을 했다는 생각이 들지만)로서 큰역할을 한 사람이다. 양자역학 쪽에서 연구를 했다고 하는데, 그의 과학적 업적은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과학 쪽으로는 그의 개인적인 업적은 다른 위대한 과학자들에 비해 그리 내세울만하지 않다고 한다. 아인슈타인에 비하면 더더욱.
그럼에도 둘을 비교하는 책을 내었다. 무언가 공통점이 있기 때문인데...이들은 원자폭탄과 관련이 있고, 또한 유대인이라는 사실, 그리고 물리학자라는 사실과 또한 한 때 함께 일하기도 했다는 사실이 관련이 된다. 그리고 우리가 쉽게 넘볼 수 없는 업적을 이루어냈다는 사실도.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둘은 공통점보다는 다른 점이 더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에 대해서 부정적이었고, 집단으로 연구하기보다는 개인적으로 연구하고 활동하기를 좋아한 반면, 오펜하이머는 양자역학 쪽에 서 있었고, 개인적인 연구보다는 집단지성을 옹호하고 추진하는 편이었다는 점에서 상반된 입장에 선다.
또한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생각이나 행위에 확신을 가지고 당당하게 행동을 했다고 한다면, 오펜하이머는 자신보다는 다른 사람의 관점(특히 더 권위있다고 여겨지는 사람)에서 생각하는 경향이 많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원자폭탄 이후 둘의 행적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아인슈타인은 선명한 평화주의를 내세우며 반핵운동에 앞장서지만, 오펜하이머는 아인슈타인과는 다른 방향에서 운동을 한다.
즉 통합이론을 확립하려는 아인슈타인이 개인적인 행동에서도 일관성 있는 모습을 보이며 살았다면, 오펜하이머는 통합이론을 인정하지 못하듯이 자신의 행동에서도 여러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이를 저자는 세가지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는데, 물리학자로서, 고등연구소 소장으로서, 공직에서 물러난 다음에는 지식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지니게 된다고 한다.
아인슈타인이 일관성으로 자신의 삶을 이어나갔다면, 오펜하이머는 상항 속에서 자신을 형성시켜나갔다고 할 수 있다.
누구의 모습이 더 좋다는 말로 표현하기는 힘들다. 다만 둘 다 끊임없는 지적 욕구를 지니고 있었으며, 새로움에 대한 도전을 즐겨했다는 점, 그리고 자신의 분야든, 다른 사람의 분야든 소통을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우리가 배울 점이 많다는 것이다.
이것과 더불어 이들은 과학자이지만 철학, 윤리적인 공부도 게을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요즘 과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주는 시사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과학은 과학이라는 틀에만 얽매여 있다면 더이상 과학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어쩌면 오펜하이머 자신도 자조하듯이 기술자로 전락할 위험이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읽음으로써 생각할 수 있다.
난해한 상대성이론이나 양자역학에 대한 설명 대신에 이 두사람에 대해서 쓰고 있어서 읽기에 전혀 불편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그리고 그들의 삶을 통해서 내 삶을 돌아볼 수 있다는 점이 이 책의 강점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