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기술
피터 펜윅.엘리자베스 펜윅 지음, 정명진 옮김 / 부글북스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한 달 사이에 연달아 세 번의 죽음을 만나게 되었다. 이제는 죽음을 만날 나이가 되었다는 서글픔도 있지만, 어느새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할 나이가 되었다는 생각도 든다.

 

잘 죽음, 이것은 잘 삶만큼 중요하다고 하는데, 어떤 죽음이 잘 죽는 죽음일까? 도대체 우리는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이런 의문은 끝없이 드는데, 답은 없다.

 

최근에 읽은 "죽음이란 무엇인가"라는 책이 죽음에 대해 철학적으로 접근을 해서,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에 대해서 생각하게 했다면, 이 책은 구체적인 죽음 순간의 모습과 그 죽음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그래서 역시 죽음에 대한 어떤 기술을 알려주지는 않는다. 아니, 죽음에 대해서 기술을 알려줄 수는 없다. 죽는 순간은 단 하나뿐인 순간이며, 이는 남에게 알릴 수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죽음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언젠가는 누구나 한 번은(?) 겪을 일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죽음의 순간에 영혼으로 나타나든, 연기로, 구름으로, 또는 바람으로, 아니면 다른 자연현상으로, 또는 텔레파시로 나타나든, 죽음에는 어떤 영적인 요소가 있다는 이야기를 한다.

 

단지 인간은 뇌와 육체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뇌에는 우리가 규명하지는 못하지만, 분명 영적인 요소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 주장을 뒷받침 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례들을 언급한다. 많은 사람들이 죽음의 순간에, 또는 친족,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겪는 순간에 겪었던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일들을 소개하면서 사람은 단지 뇌만으로 존재하지는 않는다고, 아직은 설명하기 힘들지만, 그렇다고 부정할 수 없는 어떤 요소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영적인 존재를 인정하는 순간, 죽는 사람이든, 남아서 죽음을 지켜보는 사람이든 마음은 훨씬 편안해졌다고 한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역시 마음이 편안해진다.

 

죽음이 그냥 소멸이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죽음을 미지의 세계로의 여행이라고 한다. 그 여행을 떠날 때 미리 알려주기도 하고, 여행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기도 하며, 다시 만나지 못할 여행이기에 그동안에 쌓여 있던 감정들을 해소하기도 해야 한다고 한다.

 

그러면 조금이라도 더 편안한 마음으로 죽음이라는 여행을 떠날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도 죽음을 편안한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한다.

 

지금 우리를 생각해 보면, 우리는 병원에서 태어나 병원(요양원)에서 죽는 경우가 대다수다. 자신의 삶을 구성하던 친숙한 공간이 아닌 다른 곳에서 생의 첫발을 대딛고, 생의 마지막 발을 내딛는데, 이 책을 읽어보면 탄생의 순간이든, 죽음의 순간이든, 친숙한 공간에서 친밀한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죽음이 두렵다고 해서 그냥 멀리할 것이 아니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이 죽음의 기술이 말하고자 하는 바다.

 

이렇게 죽음을 받아들이면 죽음에 대해서 우리가 가지고 있던 편견을 떨쳐버릴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허황된 얘기로 치부하지 않고, 그럴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죽음, 그는 곧 삶에 동반한 그림자이자, 삶의 길에서 잠시 벗어나면 만나게 되는 뒤안길이라는 사실.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이것은 죽음에 대해서 두려움을 가지라는 얘기가 아니다.

 

죽음에 대해서 생각하면서 삶을 더욱 충실하게, 즐겁게 영위하라는 뜻이다.

 

"죽음의 기술"이라는 책은 결국 "잘 죽음"을 이야기하고, "잘 죽음"은 곧 "잘 삶"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