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평론은 절망이라는 늪에서 피어나는 희망의 꽃이다.

 

이렇게 말해야 한다.

 

세상은 이상하게도 점점 더 절망의 구렁텅이로 빠져들고 있는데, 어둠 속에서 살다보니 어둠에 익숙해지듯이, 절망 속에 있다 보니 절망에 물들어버리고 마는 경우가 많은데, 녹색평론은 '아니다. 희망은 있다. 자, 봐라'하고 있다.

 

인간에게 남겨진 최후의 것이 희망이라고 하듯이 이 희망마저 없다면 이 절망의 시대를 어떻게 살아갈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이런 희망의 꽃이 더 많이 피어 더 많은 사람들이 보고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번 호는 "힘있는 탈핵운동을 위하여"이다.

 

탈핵, 반원전. 고립되고 소수의 운동으로 보여지지만, 광범위하게 퍼져 있고, 공감을 얻고 있는 운동이기도 하다. 다만 원자력마피아라고 불리는 집단의 비민주성, 정보의 독점, 그리고 전문가만이 알아들을 수 있는 용어 사용 등으로 사람들의 핵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이상하게도 국민의 건강을, 국민의 안전을 책임져야할 정부에서도 이것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다. 반감기라고 독성이 반으로 주는 데만도 짧은 것이 몇 십년 긴 것은 몇 만 년 걸리는 그 핵의 위험성에 대해 바로 옆 나라에서 일 년 전에(이제는 일 년이 지나 이 년이 되어가지만) 일어난 핵발전 사고에 대해서도 아직도 퍼져 나오고 있는 방사능의 위험에 대해서도, 바다의 오염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노후화된 원전이 몇 기가 있는 우리나라의 위험성에 대해서도, 가끔 고장이 나 서 버리는 원전에 대해서도, 부품을 불량부품을 썼음에도 제대로 교체를 했다는 소리도 없이 조용히 재가동해 버리는 그런 모습에 대해서도 전체적으로 해명이 없다.

 

단지, 겨울철 전력수급이 어렵다는 말만 되풀이 한다. 국민 각자가 전기절약을 해야 하며(그래서 어제 10일에 전국적으로 자발적인 전기절약 운동-이것을 민방위 훈련이라고 한다-을 했다), 원전은 전기를 생산하는데 꼭 필요한 존재라는 인식을 하도록 언론 플레이를 한다.

 

이번 호에 나와 있듯이 전력이 부족하다면 계획 정전을 하면 되고, 이를 우리나라 국민들은 충분히 감수할 수 있을 것이며,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산업전력을 효율적으로 쓴다면 전력대란은 오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데(전력 부족, 진실과 거짓), 이런 대책은 세우지도 않고 오직 전력 수급이 어려울 수 있다는 불안감만 조성하고 있다.

 

충분히 할 수 있는데도 하지 않는 이유? 참...

 

그렇다고 우리가 "왜?"에만 매몰되어서는 안된다. 이제는 "왜?"를 넘어 "어떻게?"로 나아가야 한다.

 

왜 그러는지 대충 알지 않는가. 이제는 어떻게 하면 "핵"에서 우리가 벗어날 수 있는지, 어떻게 해야 벗어나는지 고민하고 행동해야 할 때다. (힘있는 탈핵운동을 위하여)

 

그러한 논점으로 진행된 이번 호에 실린 대담이 여러가지로 생각할거리를 준다.

 

그냥 절망에만 빠져 있으면 안 된다고, 무언가를 해야 한다고... 우리가 해야 하고 할 수 있는 일은 많다고... 당장 시작하자고...그렇게 희망을 보여준다. 희망을 이야기한다.

 

희망은 우리에게 삶이다. 녹색평론은 그렇게 다시 삶을 노래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