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에 살어리랏다 - 아름답게 되살린 한옥 이야기
새로운 한옥을 위한 건축인 모임 지음 / 돌베개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옥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어쩌면 네모 네모로 이루어진 현대 아파트식의 건축물에 질려서일지도 모른다.

 

또 어디 가나 비슷한 구조를 지닌 공공건물들, 학교들의 모습에 싫증이 나서일지도 모른다. 한옥도 역시 한옥끼리는 비슷한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겉으로 사람을 압도하는 높이를 지니고 있지는 않으니, 오히려 옆으로 포근하게 사람을 감싸는 느낌을 주고 있으니, 한옥 일색도 조금은 그렇지만, 한옥이 거의 사라져 가는 지금의 모습은 고쳐져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한옥에서 살지는 못한다. 아니 살 수가 없다. 한옥에 살려면 기존에 있던 한옥을 구입하던지, 아니면 땅을 매입해서 한옥을 지어야 하는데, 이거 원, 자본주의 사회답게 돈이라는 놈이 나를 구속하고 있다.

 

결국 돈에 제한당하고 있다. 우리의 주거 공간 역시.

 

아마 한옥이 좀더 대중화된다면 한옥을 짓는 방법도 발전을 할테고, 한옥의 재료들도 진화하여 지금보다는 싼 가격에 지을 수 있게 될테지만, 지금은 다른 건축에 비해 비싸다는 사실이 한옥의 대중화를 가로막고 있다. 또한 늘어나는 인구수도.(아니지 이제는 인구 감소를 걱정하는 나라인데, 그렇다면 지금처럼 무작정 대단위 주택을 짓는 일은 시대착오적인 건축일지도 모른다)

 

이 책은 전통적으로 존재해온 한옥을 소개하는 책은 아니다. 그래서 어떤 고택(古宅)들을 소개하고 있지는 않다.

 

반대로 현대적 의미의 한옥을 소개하고 있다. 기존 한옥을 매입하여 현대에 맞게 개량하고, 증축하고, 또는 신축한 집들을 중심으로 어떻게 지었는가를, 특징은 무엇인가를 설명해 주고 있다.

 

주거공간, 상업공간, 문화공간, 업무공간이라는 네 분야로 나누어서 소개하고 있는데, 주거공간이야 본래 한옥의 쓰임새이니 사는 사람의 취향이 잘 드러나게 고쳐서 살고 있는 집들이 소개되고 있고, 다른 책들과는 다른 점은 상업공간이나 문화공간, 업무공간에 대한 소개다.

 

한옥을 상업 공간으로 쓰고 있는 집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또한 문화적인 공간으로(이는 한옥을 살리겠다는 의지를 지닌 사람들이 의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 우리나라 최초로 관공서로서는 혜화동사무소가 한옥에 자리를 잡았다는 소개까지 있다.

 

그만큼 한옥이 오래된 옛건물로써만 존재하지 않고, 우리의 실생활에서 우리의 필요를 충족시켜주는 대상으로 존재하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리라.

 

아파트가 밖으로는 철저하게 단절되고 감추어진 공간임에도 안에서는 열려 있는 공간이라면, 한옥은 밖으로도 어느 정도 열려 있지만, 밖과는 담으로 분리되어 있고, 안에서는 마당을 중심으로 서로 열려 있지만, 또한 마당을 중심으로 닫혀 있는 공간으로, 열리되 닫힌, 닫히되 열린 이중의 장소로써 존재한다는 차이를 발견한다면...

 

그래서 자기만의 방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아파트와 같은 현대식 건물보다는 한옥이 훨씬 좋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무엇이든 획일적인 것은 좋지 않다. 건물로 대표되는 우리 삶의 공간도 마찬가지다. 현대식 건물도 필요하지만, 한옥과 같은 전통건물도 필요하고, 또한 한옥을 현대에 맞게 발전시킨 건물들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한옥은 비움의 미학을 간직하고 있는 집이라고 한다. 그 비움으로 인하여 채움이 일어나는 공간. 바로 우리들의 삶을 한옥이 응축하고 있지 않은가. 우리도 비움으로써 우리의 삶을 더욱 충만하게 채워갈 수 있으니 말이다.

 

한옥에 살어리랏다. 좋다. 언젠간 나도 한옥에 살어리랏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