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키 동남아 - 사랑과 행복의 상징 두리안을 찾아 떠나는 힐링 로드
김이재 지음 / 시공사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멀고도 가까운 곳, 동남아.

 

우리와 상관이 없을 것 같지만 이제 우리 사회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는 곳이 바로 동남아다.

 

그런데도 우리는 동남아 하면 우리와는 상관없는 여행에서나 만날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을 한다.

 

그만큼 동남아는 우리에게 멀다. 우리 삶과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늘, 글로벌, 글로벌이라고 외래어ㅡ아니 외국어를 남발하면서도, 또 다문화사회, 다문화사회 하면서도 우리가 말하는 다문화 사회는 남들이 우리에게 동화되는, 즉 우리 사회에 들어와 있는 다른 나라 사람들이 우리 문화를 빨리 익히는 사회로 여기지 않았던가.

 

이제는 국회의원 중에서도 이주민이 나오는 나라가 됐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직도 그들을 이방인, 우리에게 동화되어야 할 사람들로 인식하고 있지는 않은지 되돌아봐야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동남아를 연구하는 학자가 동남아의 모든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고, 두리안이라는 과일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이끌어가고 있다. 여기서 두리안은 단순한 과일이 아니라 동남아의 문화이자, 행복의 원천이다. 서양과는 다른 동남아만이 모습을 대변하고 있는 과일이다.

 

두리안이라는 과일, 사실 생소하다. 생소할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나라에서 나지도 않을 뿐더러 수입이 된 지도 얼마되지 않았으리라.

 

우연히 두리안을 맛보게 되었는데, 그 때 이 두리안을 과일의 왕이라고 소개를 해줬었다. 맛보기 전에 우선 냄새가 참.. 견디기 힘들었는데... 그런데 냄새를 이겨내고 입 속에 넣었을 때 그 맛은 냄새와는 완전히 다른 아주 부드럽고 달콤한 맛이었다. 이래서 두리안을 좋아하는구나.

 

하지만 그 때 얘기들은 것이 이 두리안을 호텔에 갖고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는 것이었다. 냄새가 난다고. 이는 서양인을 의식해서일텐데... 이 책에도 나온다. 동남아의 몇몇 나라에서는 두리안을 공항이나 호텔에서 판매를 하지 못하게 한다고... 당당하게 파는 나라도 있지만.

 

이 책은 동남아를 단지 후진국, 우리보다 한참 못한 나라, 가난에 찌든 나라, 그래서 돈을 벌기 위해 다른 나라로 나올 수밖에 없는 나라라는 생각을 바꾸게 했다는 점에서 좋았다.

 

동남아에는 그들만의 문화가 있고, 이는 결코 열등하다 우월하다는 말로 평가를 할 수 없다는 것. 그리고 이들에게 우리가 배울 점이 많다는 사실... 태국에서는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는 태도를, 말레이시아에서는 남자들의 부드러움을, 인도네시아에서는 여자들의 적극성과 활동성을, 싱가포르에서는 철저한 깨끗함을, 필리핀에서는 역동적인 다양성, 밝음 등을...

 

하여 이 책은 읽은이로 하여금 행복하게 해준다. 그냥 미소를 짓고 읽을 수 있게 한다. 동남아의 어두운 면도 있겠지만, 밝은 면을 우리에게 보여주어 말 그대로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하여 다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 동남아와 관련이 있는 사람, 그리고 동남아로 여행을 가고자 하는 사람에게 이 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적어도 이 책을 읽었다면 동남아에 대한 편견을 지니지는 않을테니 말이다.

 

음식을 주요 주제로 동남아, 특히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을 다루고 있다. 아마도 이 나라들의 대표 음식들과 그리고 무엇보다 두리안에 대해서 맛을 보고 싶은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책에서는 아이들에 대해서, 여자들의 삶에 대해서 많이 나오고 있다. 우리네 삶과 비교하면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다시금 생각하게 될 것이다.

 

진정한 다문화, 그것은 어쩌면 두리안을 냄새만으로 멀리하는 것이 아니라, 냄새가 감추고 있는 그 맛을 알아내고 즐기는데 있을 것이다. 우리도 멋진 다문화사회로 가야하지 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