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철학하기 - 낯익은 세상을 낯설게 바꾸는 101가지 철학 체험
로제 폴 드르와 지음, 박언주 옮김 / 시공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

무슨 구름 따먹는 얘기 같이 들리면, 그것은 우리가 철학에 대해 선입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철학은 아무나 하는 학문이 아니라, 철학자라는 아주 특수한 집단만이 하는 학문이라는.

 

그러나 과연 그럴까? 영어를 분석해보면 철학은 지에 대한 사랑이라고 하지 않나? 그냥 무언가를 추구하면 그것이 바로 철학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철학을 어려워한다. 이유가 무얼까? 그것은 바로 우리가 일상에 함몰되어 있기 때문이다. 먹고 사는 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철학이라는 말이 우리에게서 멀어지고 말았기 때문이다.

 

그렇담 철학은 무엇일까?

 

낯설게 하기

바로 이것이다. 늘 바라보는 나를 다른 모습으로 바라보기. 내가 늘 하던 일을 낯설게 바라보기. 낯설게 느끼기. 어? 하는 느낌이 드는 순간, 우리는 철학의 세계에 들어간다. 철학이란 자명하다고 생각한 일들이 자명하지 않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순간 우리에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어떻게 낯설게 하나? 그것에 대한 이야기가 바로 이 책에 나와 있다. 그것도 무려 101가지씩이나.

 

어떻게 생각하면 참 엉뚱한 발상이다. 그러나 철학이란 바로 이런 엉뚱함에서 낯설음이 생기고 낯설음에서 발생하지 않나?

 

처음을 보자. 내 이름 불러보기. 세상에 자기 이름을 불러보기가 일상에서 철학하기의 첫장면이라니... 그러나 내가 내 이름을 불러본 적이 얼마나 많을까 생각해 보면, 거의 없다. 내 이름은 불려지기만 했지 스스로 부르는 경우는, 그것도 큰소리로 부르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자기 이름을 부르다 자신의 다른 존재를 깨닫게 되니, 철학의 낯설음, 자기 이름을 부르는 일에서 시작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마지막은 섬세한 애무를 탐험하기이다. 자기 이름으로 시작해서 자신의 몸을 구체적으로 느끼는 과정, 이것도 역시 자신을 또 하나의 자기로 분리시켜 놓고 느껴보는, 낯설음의 일종이다.

 

소크라테스

가 생각이 났다. 철학자하면 배운 것이 늘 소크라테스니... 그런데, 소크라테스를 우리 어릴 적에 소쿠리 장수라고 했던 일이 생각났다. 왜 우리는 소크라테스를 소쿠리 장수라고 했을까? 발음이 비슷해서이기는 하겠지만, 일견 생각해보면 소크라테스가 소쿠리 장수인 것이 맞겠다 싶다. 소쿠리에 철학을 담는.

 

우리의 일상에서 많은 일들이 사실은 철학이라는 사실을,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존재하는 일들을 낯설게 보게 하지 않았던가. 그의 대화법이든, 산파술이든, 이는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이 사실은 정확하지 않음을 깨닫게 했으니... 그는 소쿠리에 그러한 지식들을 담아, 그것을 사람들 앞에 내놓음으로써 자신의 무지를 깨닫게 하는 사람이었으리라.

 

이런 소크라테스와 관계되어 또 하나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라는 말. 이 역시 일상에서 낯설음을 경험하라는 말이다. 배부른 돼지라는 소리는 일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오로지 동물적 인간을 의미하기도 하겠지만, 일차원적인 인간, 즉 자신을 낯설게 바라보지 못하는 인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인간은 평생토록 철학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게 되고, 이는 자신을 성찰할 능력도 기회도 얻지 못하는 삶을 산다는 얘기가 된다.

 

그래서 이 책은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어 보라고 우리를 유혹한다. 그러면 다른 세상이 보일 것이라고. 한 번 해보라고. 무엇이 두렵냐고, 우리가 그냥 할 수 있는 일들인데...

 

그래, 여기에 나온 101가지 방법들은 참 황당하기도 하다. 이게 뭔 철학이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철학 맞다. 철학이 별거던가? 자신을 낯설게 바라보는 일, 그것이 바로 철학 아니던가.

 

또 이 책에 나온 101가지 방법, 참 쉽기도 하다. 우리가 마음만 먹으면 쉽게 할 수 있는 것들이다. 한 번쯤 해볼만한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