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혀가 입 속에 갇혀 있길 거부한다면 창비시선 194
김선우 지음 / 창비 / 200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랫동안 이 시집이 내 손에 잡혀 있었다. 제목이 길고, 이 제목이 무얼 의미하는지, 먼저 제목이 된 '만약 내 혀가 입 속에 갇혀 있갈 거부한다면'을 읽었는데... 시가 노래하고 친하다고, 당연히 시는 노래의 요소들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마찬가지로 시는 미술과도 친하다고, 그래서 많은 화가들의 그림을 가지고 시를 쓰기도 했는데...

 

김선우의 시는 음악보다는 미술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선명한 이미지... 무언가 섬뜩한 이미지들... 그러나 그 이미지들이 의미로 환산되지 않는다. 이미지들이 머리 속에서 놀고 있는데, 이게 무슨 의미일까 도무지 감을 잡을 수가 없다.

 

제목이 된 시도 마찬가지다. 문법적으로 따져보려고 해도, 자꾸만 단절이 된다. 무슨 뜻일까? 궁리궁리 하다가 무슨 뜻인지를 파악하기를 포기하고, 그 이미지들을 머리 속에서 간직하기로 하고, 다른 시들을 읽기로 했다.

 

다른 시들, 의외로 의미가 들어오기 시작한다. 의외로 라는 말은 제목이 된 시와는 다르게 나름대로 인과관계를 통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시들에 나타나 있는 공통점을 찾으라면 순환과 여성성이라고 할 수 있다. 어쩌면 여성성이란 순환을 전제로 하고 있지 않은가. 세상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상, 나는 곧 너라는 사상을 바탕으로 한 삶의 방식이 바로 여성성 아니던가.

 

그런 여성성이 어느 순간 파괴되기 시작했다. 김선우의 시에서는 이러한 파괴의 모습이 나타난다. 그래서 이 시집에서는 여성성과 여성성의 파괴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고 봐야 한다.

 

이렇게 생각하다 보니, 만약 내 혀가 입 속에 있기를 거부한다면은 이러한 여성성을 다시 살리기 위해서 내가 나서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그러나 여성성을 파괴하는 대상은 강하다. 그는 무한대로 팽창하고 있다. 따라서 나는 그를 죽이려고 하지만, 그를 죽이지 못하고, 오히려 그에게 죽음을 당할 위기에 처하기도 한다. 또한 나는 그를 죽였다고 하지만 이는 환상 속에서 이루어진 일일 뿐이다. 왜냐하면 '내 혀는, 그의 입 속에, 비굴하고 착하게 갇혀 있'기 때문이다.

 

하여 이 시집에서 나타나는 그 선명성은 우리에게 자연의 순환성을 생각해 보라고, 이미지로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순환성과 순환성의 파괴로 인한 여성성의 파괴를 제목이 된 시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해 본다.

 

이 시집에서 그래도 마음이 따뜻해지고, 한 번 순환에 대해서 생각해 볼 만한 시가 '양변기 위에서'이다.

 

양변기 위에서

 

  어릴 적 어머니 따라 파밭에 갔다가 모락모락 똥 한무더기 밭둑에 누곤 하였는데 어머니 부드러운 애기호박잎으로 밑끔을 닦아주곤 하셨는데 똥무더기 옆에 엉겅퀴꽃 곱다랗게 흔들릴 때면 나는 좀 부끄러웠을라나 따끈하고 몰랑한 그것 한나절 햇살 아래 시남히 식어갈 때쯤 어머니 머릿수건에서도 노릿노릿한 냄새가 풍겼을라나 야아-망 좀 보그라 호박넌출 아래 슬며시 보이던 어머니 엉덩이는 차암 기분을 은근하게도 하였는데 돌아오는 길 알맞게 마른 내 똥 한무더기 밭고랑에 던지며 늬들 것은 다아 거름이어야 하실 땐 어땠을라나 나는 좀 으쓱하기도 했을라나

 

  양변기 위에 걸터앉아 모락모락 김나던 그 똥 한무더기 생각하는 저녁, 오늘 내가 먹은 건 도대체 거름이 되질 않고

김선우, 양변기 위에서 전문

 

우리가 아무렇지도 않게 사용하는 양변기를 통해 자연의 순환에 대해서 생각해 보라고 시인은 말하고 있다. 이러한 순환을 생각하지 않으면 우리는 '내 혀가 입 속에 갇혀 있길 거부한다면'에 나타나는 기괴한 모습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