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에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했다. 일명 일제고사. 전국의 학생들을 똑같은 문제로 똑같은 시간에 풀도록한다고 하여 일제고사라고 하고, 이 시험이 과연 교육적인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고, 많은 비판을 하기도 했지만, 우리의 교과부는 요지부동, 또다시 강행하고 말았다.

 

게다가 이 시험의 결과를 가지고 학교를 평가하기도 한다니... 이런 몰상식한 행위를 교과부에서 하니, 이 나라 교육이 파행으로 흐르는 일이 당연하다는 생각도 든다. 여기에 농어촌에 있는 작은 학교들을 또 통폐합한다고 하니... 슈마허의 말을 빌리지 않더러도 '작은 것이 아름다울' 수 있다는 사실을, 교육은 대규모로 대량생산하는 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교육을 책임진다는 교과부의 관료들은 알려고 하지 않는 건지, 아니면 일부러 모른 체 하는 건지 알 수가 없다.

 

이런 정책들로 학생들의 심신을 피곤하게 하더니, 자살이 많이 이루어진다고 전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또 일제히 정서행동발달검사란 것을 해서, 위험군, 주의군, 관심군 등등으로 학생들을 분류하기 시작했다. 학생들의 정서행동이 이런 교육현실에서 정상적일 수 있다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자체가 이미 교육에 대해서 생각도 해보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청소년은 외계인이라는 말이 있듯이, 그 질풍노도의 시기를 어떻게 보내게 해야 하나? 일방적으로 몰아붙이면 안되고, 스스로 무언가를 생각하고 만들어갈 수 있도록 시간을 주고, 실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어야 하지 않나?

 

이런 일들을 할 수 있으려면, 우선 청소년들을 이해해야 한다. 그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교육이 더 잘 이루어지게 하는데 뇌를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뇌에 대한 지식을 교육과 접목시켰을 때, 우리는 좀더 효율적인 교육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여기서 효율적이란 말은 성적을 올린다거나, 학생들을 더 잘 통제할 수 있다는 뜻이 아니라, 학생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그에 따라 학생들과 함께 어울릴 수 있다는 뜻이다. 함께 어울림은 배려와 공생의 토대가 될테니... 이러한 일들이 바로 교육의 목표 아니던가.

 

아직도 뇌에 대해서는 완전히 밝혀진 것이 없지만,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만 놓고 보아도 학생들, 또는 청소년들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오히려 교육학에서 이러한 뇌과학을 가르치지 않는다는 사실이 의아할 정도로, 뇌에 대한 이해는 교육에 도움이 많이 된다.

 

그런 단초를 이번 민들레 81호가 해주고 있다. 완전하게 밝혀지지 않았다고 해서, 완전히 밝혀질 때까지 기다릴 수는 없는 노릇. 그 때까지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들로 우리가 할 수 있는 데까지 해야 서로가 서로를 살리는 교육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 문제의식에서 이번 호는 뇌와 교육이라는 제목을 달았다고 본다. 아마도 교육에 관여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렇게 이 책을 읽는다면 일제고사와 같은 짓은 할 엄두도 내지 못하고, 폭력이나 왕따에 대한 문제도 다른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을 잡을 수 있을텐데... 공부는 학생들만이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교육에 관계된 어른들이 더 열심히 해야 한다는 사실을, 어른인 우리들이 잊고 있지는 않은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