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을 위하여 - 우리 인문학의 자긍심
강신주 지음 / 천년의상상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제목은 "김수영을 위하여"지만, 실제 내용은 바로 이 책을 읽는 우리들을 위하여이다. 진정한 삶, 단독자로서의 내 삶을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김수영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는 책이다.

 

어렸을 때였던가, 아니 머리가 조금 커지고 혁명이라는 단어를 마음 속에서 좇아가려고 할 때였으리라. 김수영의 "푸른 하늘을"이란 시를 처음 만난 것이.

 

이 단어에서 왜 "자유에는 피의 냄새가 섞여 있는가를/혁명은 왜 고독한 것인가를"이라는 구절이 마음에 와닿았다. 자유란, 그냥 주어지지 않는다는 사실,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자신의 전존재를 걸어야 한다는 사실, 그래서 그러한 자유를 추구하는 혁명은 고독할 수밖에 없음을 이 시를 통해서 느끼게 되었다고나 할까.

 

아직도 관념 속에 있는 개념이지만, 김수영의 이 시를 읽으며 격동의 80년대 젊은 시절을 보내는 나는, 관념 속의 자유가 실제로 피를 동반하면서 나타나는 모습을 목격했었고, 혁명을 꿈꾸는 사람들이 얼마나 고독하게 지내야 했는지를 어렴풋이나마 느낄 수 있었다.

 

지금 우리는 자유로운가 하면 아니다, 라고 답해야 한다고 이 책의 저자인 강신주는 말한다. 우리가 표면상 느끼는 자유는, 자유가 아니라, 자유를 가장한 통제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우리가 인식해야 한다고, 김수영을 예로 들어 우리에게 이야기하고 있다.

 

어쩌면 이 책은 김수영에 관한 책이지만, 강신주 자신에 대한 책이기도 하리라. 그리고 자유를 꿈꾸는 우리들에 관한 책이기도 하리라. 그래서 우리는 이 책을 읽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행동으로 나아갈 때 김수영을 떠나보낼 수 있게 되리라.

 

스승을 떠나보낼 때, 이는 스승을 좇는 행위를 그만두고,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찾아 스스로 살아갈 수 있음을 보여줄 때, 그 때가 바로 스승을 떠나보낼 때니 말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 책에서 만나는 김수영을 떠나보내야 한다. 그를 떠나보내지 않고, 그를 안고, 흠모하면서 살아간다면, 우리는 결코 이 책을 제대로 읽었다고 할 수 없다.

 

이 책의 저자인 강신주가 하는 말도 이러리라. 어쩌면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이고,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라는 옛선사들의 가르침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본다. 언제까지나 스승을 좇으려고 한다면 그는 자신의 삶을 살지 못하고, 스승의 그림자로만 살아가게 될테니 말이다.

 

강신주는 "달나라의 장난"을 읽고 위안과 삶의 방향을 찾았다고 하지만, 나는 "푸른 하늘을"이 더 좋았다. 아니 어떤 시보다도 먼저 접했고, 강렬한 인상을 받았던 시였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하더라고 김수영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지는 않겠지만 말이다.

 

무엇보다 우리는 그의 시에서 단독자로서 자유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점을 배워야 한다. 그러한 삶을 살 때 그 때서야 비로소 "시"를 쓸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그럼으로 이런 김수영에게는 참여시니 순수시니 하는 유파의 구분은 의미가 없다고 하겠다. 특히 이 책에서 김수영의 자유를 향한 추구를, 또는 그의 시의 원점을 4.19가 아닌 거제도 포로수용소로 잡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극도로 자유가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자유를 추구하는 김수영의 모습. 그가 그토록 치열하게 자유를 추구했던 이유는 수용소 경험이 바탕이 되었다고 이 책에서는 말하고 있다. 자유를 잃은 사람이 자유의 소중함을 알고, 사이비 자유주의자들을 향해 진정한 자유는 이것이라고 외치는 모습. 그런 삶이 시로 하나하나 살아나는 모습. 이를 강신주는 이 책을 통해서 잘 보여주고 있다.

 

그간 많은 문학적 논의가 많은 시인이 김수영이지만, 이렇듯 자신의 삶과 김수영의 삶, 그리고 시를 종합하여 하나의 독자적인 책으로 만들어낸 노력이 돋보이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는 김수영을 떠나보냈다고 한다.

 

그렇다면 나는? 우리는? 성찰이 필요한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