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 - 수학소설 골드바흐의 추측
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 지음, 정회성 옮김 / 생각의나무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랜만에 읽은 소설이다. 수학소설은 워낙 있지도 않지만, 잘 읽게 되지 않는다. 기껏 읽은 수학에 관한 소설이 "수학귀신"이니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게다가 고등학교 이후 수학이라는 세계는 내 삶과는 상관이 없는 전혀 다른 세계였으니 말이다. 가끔 아이들이 푸는 수학 문제를 보면 참 어렵구나 하는 생각을 하고, 우리가 학교에 다닐 때도 수학은 우선 우리를 주눅들게 했다는 생각이 다시 들었으니.

 

소설이라기보다는 위대한 수학자의 이야기겠거니 하는 생각으로 책을 집어들었다.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라고 하니 말이다. 그러나 이 소설은 골드바흐의 추측을 증명하는 이야기로 내용을 이끌어간다. 설명을 보면 골드바흐의 추측은 아직도 증명이 되지 않고 있다고 하는데...

 

이 소설의 결말 부분에 가면 수학자들 중에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 사람이 많다는 얘기, 그렇게 되지 않기 위해 평범한 삶으로 전환한 주인공이 나온다. 그러나 그럼에도 수학에 미쳐있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결코 실패의 이야기가 아니라 삶의 진정성에 대한 이야기다.

 

주인공의 삼촌이 비록 여자 때문에 골드바흐의 추측을 증명하기로 결심했다고 하지만, 그것을 증명해가는 과정에서 여자에 대한 생각은 사라지며 오로지 수학에 대한 생각만으로 꽉 차 있게 된다. 이러한 집중이 남들이 보기엔 미쳤다고 하겠지만, 그에게는 가장 진실된 순간이고 또한 삶의 정점에 서 있는 순간이리라. 그것이 증명에 성공했던 성공하지 못했건 말이다.

 

이 책을 통해서 수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할 수는 없다. 사람들이, 소위 수학자는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태어나는 것이라는 이 소설 속의 내용도 우리를 수학에서 멀어지게 한다. 우리는 이 말에 의하면 수학자는 될 수 없으니 말이다.

 

그렇지만 수학자는 될 수 없어도 삶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는 알 수 있다. 한 가지에 미치지 않으면 어떤 것도 이룰 수 없음도. 세상이 수로 이루어졌다는 피타고라스를 믿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하나에 몰두하는 사람은 남들의 평가와는 상관없이 자신의 삶을 충실하게 살았다고 할 수 있다는 사실. 이 소설은 그를 이야기한다고 본다.

 

실생활과 상관이 없다고 여겨지는 수학에도 바로 우리 삶의 자세가 들어가 있다는 사실. 정민 교수가 썼던 책 "미쳐야 미친다"는 제목처럼 어느 하나에 미치지 않으면 우리가 삶을 제대로 살았다고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으니...

 

다만, 이 책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 수학의 세계에서는 이등은 없다는 사실. 그들에게도 상당한 명예욕이 있다는 사실. 이는 소설 속의 인물들만이 아니라 학문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볼 수 있는 점이리라.

 

이 소설을 통해 수학에 다가가려는 사람은 많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오히려 더 수학은 남들의 이야기, 천재들의 이야기라고 하는 사람이 많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수학에 국한시키지 않는다면, 이 소설은 자신의 전 존재를 걸만한 일에 자신의 전 존재를 건 사람의 이야기, 그 사람의 인생은 남들의 평가를 떠나서 결코 실패하지 않은 인생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우리가 어떤 인생을 살아야 할지 그것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게 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