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소년을 위한 택리지 ㅣ 책상 위 교양 6
이중환 지음, 김흥식 옮김 / 서해문집 / 2006년 4월
평점 :
택리지, 장소를 고르는 이치라는 뜻으로 해석해도 되나? 깊은 절망에 빠진 이중환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살만한 장소를 모색한 책. 그냥 지리책이라고 생각해서 지금까지 읽어볼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냥 국사 시간에 배우는 하나의 지식에 불과한 책이었다. 이 택리지란 책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가 그 당시 기술과 철학을 담고 있는 대상이었다면, 이 택리지 또한 그 당시 사회의 모습이 담겨 있는, 그 사회 속에서 몸부림 치는 한 지식인, 당시의 용어로 해석한다면 사대부의 몸부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앞의 서문과 결말 부분에 해당하는 총론에서는 이중환의 짙은 절망감이 배어 나온다.
단지 장소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인문지리라고 할 수 있는, 그 지역에 얽힌 모든 이야기가 망라되어 있다. 그러한 자연과 경제와 사람과 풍속이 하나로 어우러져 살고자 하는 마을을 찾는 사람, 그가 바로 이중환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과거 교과서 속에서 배운 지식들이 생생하게 다가오기도 하고, 또한 그동안 여행을 통해 가봤던 우리나라의 곳곳들이 이 책에서 다시 나옴으로써 기억 속의 장소를 다시 불러내기도 한다. 그리고 그 장소를, 이 책이 쓰여졌던 당시와 지금의 모습을 비교하게 한다.
살만한 곳, 그곳이 바로 우리가 정착해야 하는 곳이라면, 지금 세기에 우리는 어디에서 살까. 이책에 나온 장소는 이미 많이 변해있고, 또한 그 때의 기준과 지금의 기준은 다를 수밖에 없다. 산과 강의 형세를 우선시하고, 그 다음 경제를 살피고, 사람의 풍속을 살피며, 자연경관을 따져야 한다는 택리지에서 장소를 고르는 원칙은 지금은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우선 산과 강은 예전의 산과 강이 아니고, 인간에 의해 변형되고 왜곡된 산과 강이고, 지구촌이라는 말이 통용되는 이 시대는, 어느 장소건 다 통하기에 경제를 따진다면 사는 곳보다는 무슨 일을 하는가가 더 중요하고, 사람의 풍속도 거의 통일이 되어 가고 있으며, 자연경관은 돈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에 우리가 살 곳은 다른 기준을 택해야 한다.
물론 요즘 귀농이다 귀촌이다 하여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곳으로, 또는 물 맑고 산 좋은 곳으로 들어가 살려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들에게 이 책이 도움이 될 수는 있겠단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이 책의 효용성은 우리가 어느 곳에서 살면 잘 살 수 있나가 아니라, 어떤 곳에서 어떻게 살아야 사람답게 살 수 있는가를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나타날 것이다.
~ 수십 년 전부터 산과 들을 모두 개간하여 농지와 마을이 생겨나 산에는 작은 나무 한 그루도 사라지게 되었다. ~ 태평성대에 백성이 점점 많아짐을 알 수 있기는 하나 산천 역시 꽤나 지칠 것이다. 68쪽 산천의 변화에서
이 책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강원도의 수려한 산천에 대한 변화를 이렇듯 이야기하고 있다. 이 때는 인구가 는다는 사실은 나라가 안정이 되고 살만한 시대라는 증거이기에 태평성대라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지금 지나치게 늘어난 인간이 자신들이 살기 위해서 자연을 파괴하고 있는 현실은, 또 굳이 파괴하지 않아도 되는 자연을 파괴하고 있는 현실은 산천이 파괴되면 인간도 살기 힘들어진다는 사실을 생각하게 만든다.
아마 이중환이 이 시대에 살았다면 자신이 살기 좋은 곳의 조건으로 꼽은 네 가지 조건 중에서 경제를 빼지 않았을까 싶다. 이제는 경제 우선의 사상으로 인해 인간의 삶이 피폐해져 가는 시대이니 말이다.
자, 어려운 시대, 우리는 어디에서 살 것인가? 어디서 우리는 인간답게 살 수 있는가? 이에 대한 답을 찾으라고 이 책은 이야기하고 있다.
참으로 고맙게도 어려운 한자로 된 책을 쉽게 잘 풀이해 놓았다. 그래서 청소년을 위한 이라는 수식어가 붙었겠지만, 어디 사람 살 곳을 찾는 일이 청소년만의 일인가. 그건 우리 모두의 일이 아니겠는가.
오래 전 우리 조상이 생각했던 좋은 장소, 지금과 비교하면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