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이 답이다 - 왜 평등한 사회는 늘 바람직한가?
리처드 윌킨슨 & 케이트 피킷 지음, 전재웅 옮김 / 이후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오래 전부터 평등이 우선이냐 자유가 우선이냐 하는 문제를 가지고 논술을 하게 한 적이 있었다. 자유를 우선시 하다보면 평등이 뒤로 처지고, 평등을 전면에 내세우면 자유가 뒤로 처지게 되는 일이 벌어진다는 얘기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학생의 인권과 교사의 교권이 동일한 선상에서 논의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듯이, 자유와 평등도 동일한 선상에서 논의될 사항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평등하다고 해서 자유를 침해받지 않고, 자유롭다고 해서 평등을 무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 때는 평등을 추구하면 무슨 공산주의냐? 하는 핀잔을 받았던 적도 있었다. 평등을 우선 주장하면 무언가 사상이 의심스러운 사람이라는 이상한 눈으로 바라보던 시대. 그래서 평등보다는 개인의 자유를 더 중시하고, 이 개인의 자유가 돈을 벌 자유, 돈을 쓸 자유라는 이상한 개인주의로, 이기주의로 흘러버리고 말기도 했다.

 

그런데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읽어봐도, 다른 학자가 쓴 "이타적 유전자"를 읽어봐도, 이기적이라는 말과 이타적이라는 말은 이상하게 통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정말로 이기적이기 위해서는 남에게 잘해줄 수밖에 없다는 얘기, 내가 남에게 잘못한다면 그것은 결과적으로 나에게 좋지 않음으로 다가온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

 

이러한 이타주의, 진정한 이기주의는 평등이라는 말하고도 통한다. 평등은 우리가 똑같아진다는 의미가 아니라, 어느 정도 평준화를 이룬다는 뜻이리라. 그래서 좀더 평등한 사회로 가는 방법은 한 가지가 아니라 여러 가지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 책을 보면 평등으로 가는 방법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평등한 사회 그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불평등한 사회일수록 더 많은 갈등과 더 많은 질병과 더 많은 폭력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통계자료를 통해 잘 보여주고 있다.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서 평등을 이루려는 모습을 보여주면 사회 구성원들간에 신뢰 관계가 형성이 되며, 이러한 신뢰 관계는 결국 서로가 서로를 인정해주는 모습으로, 조금더 평등한 사회로 가게 한다는 내용이다.

 

우리가 추구하는 사회는 개인의 자유가 극대화되는 사회가 아니라, 평등이 이루어지는, 서로가 서로에게 다가가는 사회이다. 그러한 평등 사회는 우리 헌법에도 명시되어 있다. 헌법을 보면 평등에 관한 조항이 자유에 관한 조항보다 앞에 나온다. 그만큼 우리 사회도 평등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고, 실천하려고 했다고 볼 수 있다.

 

평등, 그것은 서로가 서로를 행복하게 살게 하는 기본적인 요소다. 이것은 바로 이타적 인간의 모습이며,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이라는 홉스의 말보다는 상호 협동으로 연대를 이루어가는 사람의 모습을 발견한 크로포트킨의 말에 더 가까운 모습이다.

 

이 책에서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부록으로 우리나라의 불평등지수를 좀 실어줬으면 하는데, 도대체 불평등 지수가 높은 나라일수록 사회문제가 심각하다는 유의미한 통계자료를 제시했는데, 우리나라의 평등지수가 어느 정도 알 수 없어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 답을 고민하는데 좀 부족하든 생각이 든다. 외국의 자료를 잘 제시했기에 여기에 우리나라의 자료를 제시했다면 그 자료를 가지고 우리가 우리나라의 모습을 유추하고, 또한 좀더 평등한 사회로 나아가려는 노력을 하는데 어떤 청사진을 그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