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리스, 깨어나지 않는 영혼
수잔 손택 지음, 배정희 옮김 / 이후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앨리스, 깨어나지 않는 영혼이라는 책 제목을 봤을 때는 사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생각했다. 그리고 손택이 나름대로 앨리스를 분석한 책이구나 했는데... 아니다. 이건 희곡이다. 연극으로 보면 더 좋을. 그러나 희곡도 읽을 수 있는 문학 작품 중 하나 아니겠는가? 그리고 앨리스는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희곡이라니. 윌리엄 제임스, 헨리 제임스는 들어봤어도 앨리스 제임스는 들어본 적이 없으니 말이다. 하긴 에밀리 디킨슨도 당대 보다는 나중에 더 유명해진 시인이 아니던가. 마찬가지로 앨리스 제임스도 무언가를 이루고자 했으나 이루지 못한 사람이겠지란 생각을 했다.

 

영어 제목이 침대의 앨리스라고 할 수 있을텐데, 그만큼 이 작품의 배경은 침대에 누워있는 앨리스이다. 앨리스는 이 침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침대에 매여 있다는 사실, 자신의 삶이 영혼은 깨어있으나 몸은 매여 있는 상태라는 의미 아니겠는가. 즉, 깨어나지 않는 영혼이라는 제목보다는 영혼은 깨어났으나 몸이 움직일 수 없는, 현실적인 제약을 받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라고 하는 편이 더 좋겠다.

 

여성이라는 한계가 얼마나 심한 굴레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이 희곡에서는 앨리스를 통해서 보여주고 있으며, 그가 의식의 왜곡 상태에 빠진 것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여성이 어떤 일을 할 때 정상의 범위에서 벗어난 사람 취급을 받았음을 의미하다고 해석하면 지나친 해석일까?

 

울프는 자기만의 방을 외쳤는데, 이 작품 속의 앨리스는 자기만의 방이 아니라, 밖으로 나아가고자 하나 침대에 매여 있는 상태, 결코 자신을 이해받지 못한 상태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앨리스의 구속 상태도 빈곤층이라고 할 수 있는 도둑에 비하면 사치라는 생각이 들게 작품의 후반부에 도둑이 나와 작품에 살을 보태고 있지만, 여성으로서 지닐 수밖에 없는 한계에 대해서 이 작품이 이야기하려 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지금은 여성들이 많이 해방되어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어느 순간부터 시인이나 소설가에게 붙던 '여류'라는 말이 사라졌고, 또한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발언권을 얻었고, 21세기는 여성주의의 세기라고 할 정도로, 우리 인류는 여성성으로 회귀해야 구원받을 수 있다는 주장까지 나오지 않았는가.

 

그래서 이러한 여성에 대한 역사적인 흐름을 인식하고 이 희곡을 읽는다면 조금은 이 작품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럼에도 이런 희곡은 이해하기 힘들다. 도대체 작가가 무엇을 의미하려고 했는지, 우리는 작가의 말이나 해설을 통해 조금 맛볼 뿐이다. 아직은 문화적 소양이 부족해서 그런가 하더라도, 참 어렵다. 읽기엔 수월하지만, 이를 마음이 받아들이기엔 힘들다. 그런 작품이다.  이상한 나라로 간 앨리스는 현실에서 어떻게 지냈을까? 이상한 나라에서 겪은 일들이 이 작품 앨리스의 생각과 어느 지점에서 맞닿을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읽었지만, 어렵다. 제대로 이해했다는 생각이 들지 않으니...

 

그래도 자기 세계를 구축하는 일은 남에게 의존할 수 없다는 사실, 스스로 이겨내야 한다는 사실, 앨리스는 침대를 박차고 나와 현실에 대면해야 한다는 사실. 그런 사실은 우리가 명심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