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상처를 말하다 - 누구도 이야기하지 않았던 예술가의 뒷모습
심상용 지음 / 시공아트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이렇게 되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상처가 있다고, 다들 예술가가 되지는 않고, 또한 예술가들의 상처라고 다 예술이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상처가 꽃이 되기 위해서는 상처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상처를 보고, 상처를 보듬고, 상처가 바로 자신임을 받아들이고, 그를 통해 자신을 표현한다면 그 때 상처는 꽃이 된다. 그를 표현해주는, 드러내주는 예술이 된다.

 

그러한 예술가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까미유 클로델, 고흐, 케테 콜비츠, 프리다 칼로, 권진규, 백남준, 이성자, 마크 로스코, 앤디 워홀, 장 미셸 바스키아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이라면 무엇인가 상처가 있다는 사실.

 

이 중에는 생전에 이미 유명해져서 부와 명성을 획득한 사람도 있지만, 생전에는 극단적인 무시와 멸시와 어려움에 시달리다 사후에 유명해진 사람도 있다.

 

그럼에도 이들은 자신들의 상처를 꽃으로 승화시켜 내었는데, 자신이 꽃으로 만든 사람도 있고, 남들에 의해 꽃이 피워진 사람도 있다는 점에서 비슷하면서도 다르다고 해야 한다. 나무로 따지면 이들은 자신들의 몸에 옹이를 지니고 있었던 사람들이다. 그 옹이가 별볼일 없는, 오히려 목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옹이의 무늬가 나무를 멋진 예술 작품으로 만들 수 있듯이 말이다.

 

이들이 상처를 예술로 승화시킴으로써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상처가 단지 우리를 힘들게 하고, 견딜 수 없게 하는 존재만이 아니라, 우리의 삶에 위안을 줄 수도 있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는 데 있다.

 

우리들은 이들이 표현한 예술작품을 보고 우리 삶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는다. 이는 그들의 예술에 대한 남들의 평가가 아니라, 바로 그들의 삶과 우리의 삶이 만나는 지점에서 그들의 예술을 바라보아야 한다는 의미다.

 

예술을 제대로 이해한다는 것은, 비평가의 논리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삶을 우리가 이해했을 때, 그 삶이 어떻게 예술로 표현되었나를 생각해 보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는 이야기이기도 하고, 그들의 삶을 몰랐을 때도 예술 작품에 자신의 삶을 투영해 봄으로써 예술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이 책에서는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던 예술가들, 혹은 겉으로는 화려하게 보였지만, 내면으로는 이방인으로 살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 또는 그 고통스러운 삶이 비평가들에의해 화려한 꽃으로 장식되었던 사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어떻든 그들은 고통스러운 삶 속에서 매몰되지 않고, 그들의 삶을 예술 작품으로 표현해내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는 점에서 이 책에 함께 묶일 수 있었다고 봐야 한다.

 

자, 이제 우리는 예술 작품을 볼 때 남의 시선으로 보지 말고, 내 시선으로 보는, 그리고 그들이 진정으로 추구하려는 것이 무엇이었는가를 생각하면서 보는 태도를 가져야겠다. 적어도 이 책을 읽었다면, 화려한, 누구나 대단하다고 칭찬하는 작품들이 아니라, 내 삶에 다가오는 작품들을 볼 수 있는 눈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