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은 그들을 사람으로 보지 않았다 창비시선 341
이시영 지음 / 창비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시집은 제목을 보고 골랐다. 그렇게 말해도 된다. 제목, 경찰은 그들을 사람으로 보지 않았다. 이는 용산 참사를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시로 어떻게 표현했을까, 내가 알던 이시영이란 시인은 짧은 시들을 쓰려고 노력했던 시인이었는데, 이 시를 어디에선가 우연히 보게 되었을 때는, 짧은 시가 아니라 쉬임없이 길게 주욱 써내려간 산문시였기 때문이다. 용산참사 앞에서 시인이 어떻게 감정을 절제할 수 있었겠는가, 어떻게 정제된 언어로, 짧게 표현할 수 있었겠는가. 오로지 마음 속에서 터져 나오는 탄식만이 있을 뿐이고, 그 탄식이 시가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탄식으로 모든 감정을 대신할 수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 가슴 속에서 치밀어오르는 그 고통스런 감정을 어떻게 표현해내야 하나? 시인은 그 감정을 한 편의 이야기로 풀어내고 있다. 마치 짧은 영화를 보여주듯이 그 날의 일들을 시로써 보여주고 있다. 감정을 울리기보다는 먼저, 영상을 떠올리게 한다. 그 영상을 통해 감정을 울린다. 잊을 수 없는, 잊혀지지 않는 그 날의 일들.

 

사람을 사람으로 보지 않고 오로지 수단으로만 보고만 현실. 여기에 이런 비슷한 이야기가 시로 많이 나오고 있다. '조사받다가 남산 수사관들에게서 우연히 들은 말'에서는 고 문익환 목사가 등장하고 있으며, '금강에서'라는 시에서는 4대강 이야기를 하고 있고, '아수라'라는 시에서는 구제역 파동으로 인해 얼마나 많은 가축들을 생매장했는지를 이야기하고 있으며, '시론'에서는 서정주와 이용악, 오장환이 등장하고 있다. 그밖에도 많은 사건들이 시에 등장하고 있다.

 

리비아 사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폭격, 촛불시위 때 유모차를 끌고 온 엄마들, 데레사 수녀, 권정생 선생, 어린이 노동 등등.

 

이런 시들은 시가지니고 있는 함축성이나 상징성보다는 그냥 우리가 알고 있던 사실들을 시라는 형식을 통하여 전달을 해주고 있다. 그래서 읽기에 편하다. 읽으면서 그 때 그 일들을 떠올리고, 우리들의 삶의 자세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된다.

 

하나의 사건이 단지 사건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우리에게 다가오면서 우리 삶의 방향성을 제시해주게 만드는 일, 그 일을 바로 이 시집에서 하고 있다.

 

여기에 이시영 특유의 짧은 시들이 있다. 이들이 서로 비슷한 시들끼리 하나의 장으로 묶이지 않고, 각 장에서 서로 섞여 있다. 짧은 시를 읽으면서 시의 함축성, 상징성 등을 생각하며, 깊은 생각에 잠기게 되기도 하고, 곧이어 나오는 이야기가 있는 시들을 읽으면서 시와 사회를 생각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난해하지 않아서 좋다. 너무도 심오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 한 편의 시를 이해하는데, 절망에 빠져들게 하는 시들이 적어도 이 시집에는 없다. 짧다고 하는 시들도 무슨 선문답처럼 먼 나라 이야기처럼 다가오지 않는다. 그 짧은 구절에 감정이 오롯이 실려 있다.

 

내 마음에 드는 짧은 시. 이렇다. 아침이 오다라는 제목을 지니고 있는 시다.

 

아침이 오다

 

방금 참새가 앉았다 날아간 목련나무 가지가 바르르 떨린다

잠시 후 닿아본 적 없는 우주의 따스한 빛이 거기에 머문다

아침 풍경이다. 따스하다. 또다른 설명이 필요없다. 이렇게 짧은 시들은 마음을 울리게, 긴 시들은 사건을 생각하며 내 삶을 생각하게 다가온다.

 

시를 읽자. 시를 읽자!고 많이 하는데, 막상 어떤 시를 읽어야 할지 잘 모를 때가 많다. 그럴 때 먼저 이런 시집을 읽자. 우리에게 친숙하게 다가오는. 그 친숙함 속에서 삶의 방향성을 생각하게 하는 그런 시들.

 

결코 마음이 편해지는 사건들을 다루고 있지만, 나는 이 시집을 읽으면서 마음이 편안해졌다.

이 시집의 122쪽에 있는 '직진'이란 시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