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문학의 이해 고려대학교출판부 인문사회과학총서 31
오탁번, 이남호 지음 / 고려대학교출판부 / 199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뭐 이해하는데 이론까지 필요하냐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냥 읽으면 되지. 그렇지만 그냥 읽었을 때와 알고 읽었을 때 읽은 다음에 많은 차이가 난다.

 

단지 시간을 보내기 위한 읽기가 아니라, 자신의 무엇인가를 더 채우는 읽기가 되려면 알고 읽는 편이 훨씬 더 도움이 된다.

 

그렇다고 일반인들이, 또는 학생들이 소설에 관한 이론서들을 열심히 찾아 읽을 수는 없는 노릇.

 

사실, 소설 이론서들은 외국이론을 번역한 것들이 거의 다고, 또한 내용도 너무 전문적이라 읽을수록 머리가 아파지게 되니, 이런 이론서들을 잘못 손에 들었다간 소설에게서 점점 멀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런 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소설의 이론은 필요한데, 너무 어렵지도 않고, 너무 전문적이지도 않고, 그냥 소설을 읽는데 도움이 되는 이론서 정도.

 

그래서 자신들만의 독창적인 이론서를 낼 생각을 하지 않고, 여러 이론서들에서 다룬 내용을 쉽게 풀어서 정리를 해 놓았다고 한다.

 

특히, 어떤 순서나 체계에 의해서 책을 서술해 가지 않고, 소설에 필요한 것들을 나열하는 식으로 정리를 해주고 있다.

 

그럼에도 나름의 체계는 있으니, 맨 처음은 이야기의 효용으로부터 시작한다. 왜 우리는 이야기를 필요로 하는가? 이야기는 곧 우리의 삶임을 처음에 이야기하고 있다.

 

이야기가 있음은 곧 삶이 존속함이고, 이야기가 없음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고 이 책은 시작한다. 사람에게는 이야기를 할 능력이 있으며, 그 능력은 자신의 삶에 자신이 주인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이야기의 즐거움과 이로움으로 끝을 내고 있다.

 

이야기는 우리 삶에서 꼭 필요하지만, 그 이야기가 우리에게 즐거움과 이로움을 주지 못한다면, 누가 소설을 읽겠는가 말이다. 하여 맨 앞과 맨 뒤에 이야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고, 그 나머지 중간에는 우리가 알면 좋을 서사의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학교 다닐 때 국어시간에 배운 내용을 떠올리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자신이 읽은 소설을 떠올리기도 하면서 이 책을 읽을 수 있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소설의 이론과 가까워진다.

 

그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대학생에게 읽히려는 목적을 지니되, 결코 체계적인 이론서를 표방하지 않은 책. 그런 책이기에 소설을 좀더 잘 읽고 싶은 일반인들에게도 도움이 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