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정치철학 강의 푸른숲 필로소피아 9
한나 아렌트 지음, 김선욱 옮김 / 푸른숲 / 200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렌트가 마지막으로 쓰고 싶었던 책이 "판단"이라고 한다. 사유-의지-판단의 3부작 가운데 마지막 부분을 완성하지 못하고 갑작스레 세상을 떠났다.

 

아렌트가 이 부분을 완성했다면 어떻게 썼을까? 아렌트 사상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 이 부분이 어떻게 되었을까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아렌트 사후에 그가 남긴 자료들을 바탕으로 엮은 책이다.

 

학생들과 함께 아렌트가 강의를 할 때 준비한 강의자료를 모아놓았다고 한다.

 

그리고 이 책의 뒷부분에는 이러한 아렌트의 정치철학에 대한 보론이 실려 있다.

 

사실, 아렌트도 어렵지만 칸트 또한 어려운 존재 아니던가?

 

칸트가 누군가? 우리에겐 "물자체"란 말을 만들어낸 사람으로만 기억되고 있지 않나? 인간은 어디까지 인식할 수 있나 하는 인식론의 선구자라고 할 수도 있고, 그래서 도저히 인식불가능한 존재를 "물자체"라고 한 사람.

 

어쩌면 시계처럼 정확한 삶을 살았다는 일화로 더 유명한 사람이기도 하고... 고등학교 윤리 시간에 그 놈의 정언명법인지, 가언명법인지 골머리를 썪이며 배웠던 사람이기도 한다. 난해함, 그 자체... 칸트는 나에게 물자체가 아니라 난해함 그 자체였다. 도대체, 이성과 오성이 어떻게 다른지, 여기에 감성이 나오고, 무관심, 취미 판단 등등

 

칸트의 삼부작이라던 순수이성비판과 실천이성비판, 그리고 판단력 비판은 읽으려고 해도 읽을 수 없는 거대한 산이었다.

 

그런데 칸트의 정치철학이라니...

 

아렌트는 칸트의 정치철학을 실천이성비판과 판단력비판에서 찾아내고 있다. 이 두 저작 중에 중심이라고 하면 판단력 비판이겠고...

 

그래서 판단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는데...

 

판단을 하기 위해선 나만이 아니라 남을 생각해야 하고, 남을 생각한다면 그를 불러들이는 상상력이 작동해야 하고, 이 상상력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사적인 면을 제거한 공적인 면이 작동해야 하기에, 반성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한다. 이게 무관심이다. 관심이 없다는 뜻이 아니라 사적인 관점에 치우치지 않는다고 생각해야 하는 말, 무관심이다.

 

그래서 공적영역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고, 그 준칙을 마련하려는 노력이 칸트의 정치철학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겠는데...

 

무언가 확실히 정리되었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데, 그래도 조금은 어, 그래 하는 생각이 드는 책이다.

 

아마도 칸트의 삼부작을 읽은 사람은 이 책을 더 쉽게 이해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다 이해하지 못해도 몇몇 구절들이 마음 속에 와닿는 책이니....

 

관조, 반성능력, 재현능력, 상상력... 이것들 얼마나 정치에 필요한가? 특히 사적인 관점을 떠난 공적인 관점을 취하고 그것에 기대어 판단을 해야 하는 상황, 이것이 정치적 상황이라면, 우리는 행위하는 정치가들을 위해 판단하고 알려주는 사람의 역할을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든 책이다.

 

멋대로 읽어낸 아렌트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