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주의의 기원 1 한길그레이트북스 83
한나 아렌트 지음, 이진우, 박미애 옮김 / 한길사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수가 소수를 지배하는 사회라고 해야 하나, 아니면 소수의 의견을 받아들일 수 없는 사회라고 해야 하나.

 

우리가 다수결 원칙이라고 하는 민주주의 원리라고 알고 있는 제도가 자칫하면 전체주의라는 독재보다 더한 제도로 귀결될 수 있다는 사실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이러한 전체주의에서는 자신의 의견을 관철할 수 있는 장소를 상실한 사람들이 있고, 이들은 자신의 국적을 상실한 무국적자가 된다고 한다. 이들은 어떠한 저치적 지위도 갖지 못한 집단이 된다. 그래서 인류에게서 추방당한 사람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체주의의 기원을 찾는 노력을 한 사람이 바로 아렌트이고, 이 결과물이 바로 이 책이다. 한 권으로 나왔으면 좋았을테지만, 워낙 방대한 분량이라 두 권으로 분책을 했다.

 

1권에서는 반유대주의와 제국주의를 다루고 있으며, 2권에서는 전체주의를 다루고 있다.

 

전체주의의 기원을 반유대주의에서 찾고 있고, 이를 기초로 유대인 학살이 일어나게된 과정을 추적하고 있으며, 제국주의가 어떻게 해서 발생했고,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추적하고 있다. 이러한 추적을 통해서 장소를 상실한 사람들이 어떻게 배제되고 탄압당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배제, 탄압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를 고민해야 한다. 역사는 반복되지 않는다고 하지만, 그 말이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단 생각이 들지 않는가?

 

세계1차, 2차 대전과 심각한 대량학살을 겪고도, 2000년대인 지금에 이르러서도 과연 우리는 이를 극복했다고 볼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을 하면 아니다라는 대답이 나올 가능성이 더 많다.

 

얼마나 많은 민족간의 갈등이, 인종간의 갈등이, 종교적인 갈등이 지금도 일어나나고 있는지, 우리는 헤아릴 수조차 없다.

 

이유는 무엇인가? 다름을 인정하되, 같음을 찾는 노력을 하지 않는 사회이기 때문이지 않을까? 다름을 낯섬으로 받아들이면, 이 낯섬은 곧 두려움을 유발하고, 두려움은 이를 벗어나기 위해 낯선 상대방을 제거하려는 움직임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한 움직임이 바로 우리 집단을 공고하게 만들고, 다른 집단을 배제, 탄압하게 하게 되는데... 인간이 이 지구상에서 자연의 위협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자연을 정복하는 길로 나아갔듯이, 다른 집단에게도 이와 같은 일을 취한다고 한다. 이 책에 의하면...

 

그렇다면 우리는 낯선 존재를 봤을 때, 우선 낯선 존재에게서 다름을 찾기 보다는 같음을, 비슷함을 찾으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같음을 전제한 다름은 함께함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함께함은 서로가 서로를 온전히 인정한 상태에서 자신의 전존재를 거는 모험이 될 수 있는데, 이를 실행하지 않으면 배제, 탄압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

 

반복의 고리를 끊지 않으면, 인류는 지난 역사에서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상태가 될텐데...

 

전체주의를 국가간의 문제들로만 보지 말고, 한 국가안에 있는 다른 집단들과의 관계로도 살펴보면 과연 우리는 전체주의를 벗어나고 있는가 하는 질문을 하게 된다. 우리는 이 질문을 하고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한다.

 

그것이 민주주의다. 전체주의를 견제하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