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두운 시대의 사람들 - 개정판
한나 아렌트 지음, 홍원표 옮김 / 인간사랑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아렌트의 책은 읽기가 망설여진다. 무언가 통찰력이 있는 듯한데, 막상 손에 잡고 읽기 시작하면, 무슨 이야기인지 한참을 고민해야 한다. 아니다. 한참을 고민해야 한다가 아니라, 고민을 해도 도대체 무슨 소리인지 감이 잘 안 올 때가 많다. 그래서 몇 장을 못 읽고, 책을 덮고, 쉬게 된다.
쉬다가 또 읽어야지 하고 책을 편다. 정말로 아렌트의 책은 자세를 경건하게 만든다. 그냥 아무렇게나 편한 자세로 읽어서는 금세 졸음을 이기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가 지닌 깊은 철학적 지식과 사회에 대한 통찰이 우리에게 그의 책을 읽기 힘들게 하고 있다.
어쩌면 철학적 사유에 대한 연습이 부족한 나만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철학적 사유에 대해서 연습할 시간이 과연 있었던가 하고 생각하면 이러한 책읽기의 괴로움은 나만의 문제는 아니란 생각이 든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어두운 시대의 사람들" 근대 초기에 태어나서, 근대를 온몸으로 살아간 사람들 이야기라서, 전기문이겠거니 했다가는 큰코 다친다.
단순한 전기도 아니고, 그렇다고 철학책이라고 하기에도 뭐한, 전기를 통한 철학적 사유, 정치적 사유라고 해야 할 듯한 책이다.
더군다나 처음 들어본 사람은, 그 사람의 전기를 간략하게 소개해도 잘 읽힐까 말까 한데, 이거는 그 사람을 그 사회에 집어넣고, 그 의미를 추적하고 있으니 더더욱 읽기에 힘들다.
여기에 나온 사람들 이름을 나열해 보면, 레싱, 로자 룩셈부르크, 안젤로 쥬세페 론칼리, 칼 야스퍼스, 이자크 디네센, 헤르만 브로흐, 발터 벤야민, 베어톨트 브레히트, 발데마르 구리안, 랜달 자렐이다.
이 중에 적어도 내가 이름을 들어본 사람은 레싱, 룩셈부르크, 야스퍼스, 벤야민, 브레히트가 다니 이 책 읽기의 어려움은 여기에서 시작할지도 모른다.
지식의 얕음이 이런 데서 장애로 작용을 하고, 도전 욕구를 부추기고 있기도 하지만...
한 가지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한 것은 어둠의 시대는 이 때로 끝나지 않았다는 사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도 어둠의 시대라는 사실, 그렇다면 이 시대에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어떤 자세로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생각이다.
다른 사람의 전기를 읽는 이유는, 이 책처럼 전기를 빙자한 철학적, 정치적 책을 읽는 이유는 내 삶을 가다듬기 위해서이다. 이들의 삶, 즉 이들이 이 시대에 어떻게 응전하며 살았는가를 참조하여, 이 시대에 나는 사회에 어떻게 응전하며 살아야 하는가를 찾는 목적으로 책을 읽어야 한다.
적어도 이들은 어둠의 시대에 그 시대에서도 빛을 발하는 등불 역할을 했으므로, 이 등불들이 있었으므로, 어둠의 시대는 단지 어둠으로 끝나지 않고, 새로운 시대로 나아갈 수 있었으므로. 지금 이 새로운 어둠의 시대에서 어떤 삶, 어떤 공적인 삶을 살아야 하는지를 고민해야 한다.
적어도 공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최소한 길을 잃고 헤매지 않기 위해서는 자신 속으로 고립해 들어가면 안 된다는 사실, 우정 또는 인간애라고 하는 무기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사실, 이런 무기를 지니기 위해서는 사회적, 철학적, 정치적 통찰력을 갖출 수 있는 성찰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한다는 사실은 명심할 수 있었다.
이것이 이 책이 준 긍정적인 힘이다. 성찰하지 않는 삶은, 어둠 속에 묻힌 삶에 불과하다는 사실. 이는 철학자는 철학으로, 문학자는 문학으로, 그리고 일반 시민들은 자신들의 나약함을 인간애에 바탕을 둔 우정으로 돌파해나가야 한다는 사실.
브레히트 부분에서 시인에게 책임을 묻는 일에 대한 이야기가 마음에 와닿았다. 시인에게 책임을 묻는 일은 결국 시로써 물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 그렇담 어둠의 시대를 살아간 우리 시인들에게도 마찬가지로 이를 적용시키면 되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었다. 시인이란 천상으로 날아오르려는 존재이기에 현실의 중력을 일반 사람들과 같이 적용하기 힘들지만, 그래도 그들의 시는 바로 우리 인간들의 잣대로 평가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시가 현실에 어떻게 대응을 해서 현실을 넘어선 다른 세상을 보여주고 있느냐 하는 잣대를 동원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저런 사람들 이야기를 하나로 정리하면, 결국 인간은 고립된 개인이 아니라, 함께 할 수 있을 때 사회의 변혁을 이끌 수 있으면, 이럴 때 어둠의 시대에서 길을 잃지 않고,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은 알려주고 있다고 본다.
이 책. 처음부터 읽을 필요는 없다. 다 읽을 필요도 없다. 사실, 머리에 들어오지도 않는 인물을 가지고 전전긍긍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우선, 뒷부분에 있는 헤제논문을 읽어라. 그러면 조금 틀이 잡힐 수 있다. 그 다음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인물을 읽어라. 그 인물을 읽으면서 자신의 삶과 중첩시키며 된다.
어둠의 시대, 해제논문에서 우리나라도 이러한 책을 쓰는 이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했다. 우리나라도 이에 못지 않은 어둠의 시대를 겪었다. 많은 인물들이 그러한 시대 등불이 되어주기도 했다. 한 번 시도해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