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으로 읽는 옛집 -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왜 건축에 중독되었는가?
함성호 지음, 유동영 사진 / 열림원 / 2011년 11월
평점 :
사람이 집을 만들지만, 집이 사람을 만들기도 한다.
요즘 머리 속에 맴도는 말이다. 그래서 건축가들이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런 철학이 없다면 그들은 건축가가 아니라 그냥 건설업자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김진애의 "이 집은 누구인가"라는 책도 있듯이 집은 바로 자신을 알려주기도 한다.
정말 그런가? 요즘에도... 아니지, 요즘은 건축이랄 것도 없이 그냥 건설만 있지 않나? 비하하는 말로 쓰이고 있는 토건이라는 말로 쓰이고 있지 않나? 어딜 가도 똑같은 아파트, 자신들은 내부가 다르다, 외양이 다르다 하지만 사실 그 나물에 그 밥인 경우가 많다.
이런 생각을 하다보니 이 책에서 작가가 한 말이 생각난다. 우리나라 집들은 다른 점이 없다고. 아니 정확히 말하면 특별히 다른 건축양식이 없다고. 외국에서 말하는 바로크니 로코코니 하는 양식 말이다.
그렇다면 지금 건축들이 이런 우리의 전통을 충실히 따랐다고 할 수 있나?
답은 아니다다.
우리는 특별히 다른 건축양식이 없지만, 집들은 거의 비슷한 양식을 취하고 있지만, 우리의 건축 특징은 집 건축의 특징을 찾는 데 있지 않고, 이 집이 주변과 어떻게 어울리고 있나 하는 점을 찾아야 한다고 한다. 그게 바로 우리 건축의 특징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집을 짓기 위해서는 자연을 대하는 태도, 삶을 바라보는 자세가 중요하다. 집에는 이러한 자신만의 철학이, 삶의 태도가 나타나야 한다. 지금 우리들의 건축은 이런 면이 사상되어 있다. 그냥 짓는다. 돈이 되는 곳에... 주변의 환경을 고려할 생각도 없이, 밀어붙이고, 깎아내리고, 아니면 메워버리고...
그래서 삶도 집을 닮아가서 자신만의 색깔이 없다. 자신만의 색깔이 없기에 남들의 시선을 의식한다. 남들의 시선에서 벗어나면 안 된다는 듯, 남들이 하는 대로 하고 산다.
나만의 집을 가져보지 못한 사람들. 그들이 살아가는 모습이 바로 지금 우리의 모습이다.
이 책에서는 자신만의 집을 짓고 산 옛사람들이 나온다. 집 얘기이기도 하지만, 그들의 삶 얘기이기도 한다. 그만큼 그 집에는 그들의 삶이 스며들어 있다는 얘기다.
이언적, 조식,이황, 윤선도, 정약용, 김장생, 송시열, 윤증의 집에 대한 이야기다. 이들, 한 번은 이름을 들어봤을 학자들이다. 그들의 사상이 집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들의 삶과 연관지어서 설명을 하고 있다.
우리 한옥의 아름다움을 주장한다기보다는, 자연과 사람이 함께 하는 공간에서, 사람의 삶의 철학이 어떻게 집에, 그리고 자연에 묻어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더불어 함께 나오는 사진들도 경탄을 자아낸다.
꾸미되, 꾸미지 않은, 자연을 이용하되, 결국 자연이 되는, 인위적인 삶을 살 자연적인 삶이 되는 그러한 집들이 나와 있다.
집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찾는 면에서도 이 책이 의미가 있지만, 당시 유학자들의 삶과 그들의 삶이 집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알게 되는 점에서도 이 책은 읽을 만하고, 또 그동안 모르고 지나갔던 집의 구조, 형태들과 삶의 철학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도 알려주고 있어서 좋다.
내 사는 공간이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만나고, 인간과 인간이 만나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한다면, 그 집은 바로 나이기도 하다는 사실. 우리 조상들이 꿈꾸었던 집은 바로 자신의 확장형으로서의 집이었다는 사실이 마음에 와닿았다.
여러모로 도움이 되는 책. 건축에 대해서 문외한인 나에게도 재미있게 읽힌 책.
덧말
이 책을 읽으면서 최근에 읽었던 민들레 78호의 학교공간이 생각났다. 결국 학교 공간도 학생들과 학생들이 만나는, 또 학생들과 교사들이 만나는, 또 학생들과 교사들과 학부모들이 만나는, 그리고 교육에 관계된 사람들과 지역사람들이, 사람들과 자연이 만나는 곳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달았다.
우린 얼마나 학교 공간에 대해서 관심을 가졌던가. 이황이나 그밖의 다른 사람들은 그러한 공간 하나하나에도 큰 관심을 가졌다는 사실을 환기해야 한다.
옥의 티. 가끔 년도가 나오면 숫자가 뒤집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책의 252쪽이 그러하다. 송시열의 집 얘기를 하면서 1951년에 파직을 당하고, 1953년에 집을 지었다고 되어 있는데, 9자는 6자가 뒤집힌 경우일 터. 1651년에 파직 당하고, 1653년에 집을 지어가 맞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