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혁신, 정답입니다 - 학교다운 학교를 만드는 새내기 교사들 이야기
최영란 지음 / 이매진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교육하면 백년지대계란 말이 떠오른다. 

백년을 생각하고 계획을 세워야 하는 일이고, 교육은 백년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일이라는 뜻이리라. 

그런데, 우리나라 교육정책을 보면 조변석개가 맞다. 아침에 고치고, 저녁에 또 고치고. 백년은커녕 십년도 내다보지 못한다. 

하긴 요즘같이 일년이면 세상이 바뀌는 시대에 백년을 계획한다는 발상이 우스울 수도 있지만... 

모두가 정보화 아이티 산업으로 갈 때, 과연 그 길만이 옳을까도 생각해 봐야 한다.  

스마트폰 시대에 19세기 교실에서 지내는 아이들을 보면 학교란 하루 빨리 고쳐야 할 대상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스마트폰 시대를 견뎌내고 이겨낼 사람들은 기계에 능숙한 사람이라기보다는 기계문명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숙고할 수 있는 사람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는 사람을 길러내는 곳, 그곳이 바로 학교여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학생들에게 생각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을 하도록 충분히 자극을 주어야 하지 않을까. 

과거에 침잠해 있지도 말고, 현재에 안주하지도 말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사람들을 육성하기 위해서 학교는 바뀌어야 한다. 어떻게? 

거기에 대한 고민을 담은 책인데... 학교의 문제점에 대한 이야기들이 잘 나타나 있다. 물론 학교의 가능성도 잘 나타나 있고. 

특이한 점은 이 책에 나오는 내용들이 대학에서 수업을 한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교사들이 쓴 책도 아니고, 대학 교수가 쓴 책도 아니고, 그렇다고 교육정책자가 쓴 책도 아닌, 대학에서 사범대 학생들이 한 학기 교육을 하고, 그 결과물을 모아 놓은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사범대 학생들은 '새내기' 교사라기보다는 '예비'교사라고 하는 편이 낫고, 이러한 예비교사로서의 특성으로 인해 학교를 좀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들이 교생실습을 통해 바라본 학교, 그리고 수업을 통해, 책을 통해, 영상을 통해, 토론을 통해, 글쓰기를 통해 들여다본 학교의 모습과 교사들, 학부모들의 모습에 대해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절망과 가능성이 공존하고 있는 곳, 학교. 이런 학교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교사가 되려고 하는 사람들. 

진지한 고민과 노력들이 나중에 '예비'교사들이 '새내기' 교사들이 된다면 학교 현장은 좀더 혁신의 바람이 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아마도 사범대 학생들이 읽어도 좋지만, 학교 교사들이 읽어도 좋으리라. 교사들은 학교 내부에 있어서, 사범대 학생들이 바라볼 수 있는 문제를 간과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에 관심이 있는 부모들이 읽어도 좋으리라. 이 책 학부모 편에서는 생각할 거리가 많기 때문이다. 

다만 아직은 학교 현장에 깊숙히 발을 들여놓지 않은 '예비' 교사들의 이야기라서, 학교 현장을 혁신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점이 아쉽다. 

하지만, 문제가 제기되면 해결책이 있는 법. 

문제를 문제로 인식해야지만 해결책을 찾으려 노력하니... 이 책은 학교에 대해서 문제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인정을 받을 만하다. 

변화는 한꺼번에 오지 않는다. 그리고 외부에서 오는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다. 학교 혁신은 교사들부터, 바로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학교부터 시도해야 한다. 그러면 자연스레 혁신의 바람이 외부로 번지고. 이를 통해 우리 교육의 혁신을 이룰 것이다. 

다른 것은 제쳐두고라도 우선 학생들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자. 그리고 그런 시간을 통해 나와 다른 사람, 그리고 사회, 자연과의 관계를 고민할 수 있게 해주자. 이것이 학교 혁신의 첫걸음일 수 있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