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가 처음부터 잘못되었단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다시 또 불거지고 있으니..
이 책에서 우석훈이 말했다고 생각되는데... 연봉 6000만원이 넘으면 찬성해도 된다. 다만 6000만원이 안되면 이민 갈 준비를 해라. 또 부부 연봉 합쳐 6000이면 다른 계산이 필요하다.
연봉 6천만원.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될까.
소수다. 이런 사람들은 우리나라에서 어떤 지위를 차지하고 있을까?
일반 서민들의 생활과는 조금 다른 삶을 사는 사람들...
연봉 6천이란 초과, 철야 노동을 통해서가 아니라, 8시간 노동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적용되어야 한다면, 참 적은 사람만이 여기에 속할텐데...
비준안을 통과시키겠다고 난리다.
어떻게, 대다수 사람들의 삶에 대해서 걱정을 하지 않고, 이럴 수가 있지.
이것도 세 부류.
첫째, 자유무역은 무조건 좋다. 우리나라에 도움이 된다. 해야 한다. 한나라당 의원들과 몇 야당의원, 그리고 자동차 업계 종사자들. 시민사회 단체들 중 보수적이라고 하는 사람들.
둘째, 자유무역은 우리를 가난에 빠뜨리게 된다. 멕시코의 경우를 보라. 이는 우리에게 희망이 아니라 절망이다. 야당의원들 대부분과, 농민, 소자영업자들. 그리고 시민사회 단체에서 진보적이라고 하는 사람들.
셋째, 자유무역이 뭐야. 그게 나하고 무슨 상관이야 하는 일반 민중들. 정말로 언론의 광고에 그거 좋은거 아냐 왜 반대해 하는 사람들과 반대하는 사람들도 뭐가 있겠지 하지만 뭔지 모르는 사람들. 그래서 관심을 갖지 않는 사람들.
나는 어디인가?
나는 이 책의 주장에 공감한다. 자유무역이라는 이름으로 강자가 약자를, 아니 다국적기업이 별 힘 안 들이고, 이윤을 엄청 창출할 수 있는 제도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99%를 위한 사회를 만들자고 월가 반대 시위가 일어나고 있는 지금, 과연 이 한미 FTA는 몇 %를 위한 협정일까?
적어도 99%를 위한 협정은 아니리라. 이미 피해가 뻔히 보이는 사람들이 많으니 말이다. 그런데도 국민을 대변한다는 국회는 왜 제대로 일을 못할까. 그들은 99%에 들지 않을까? 들지 않나?
이 책 말고도 많은 책들이 나와 있는데... 국회의원들은 정말 이런 책들을 읽고 토론을 해봤을까? 한 번 비준되면 바꾸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