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월계동 아스팔트에서 방사능이 검출되었다. 

한 때 비행기를 타고 다녀도 방사능에 많이 노출된다고, 비행사들은 극지방으로 비행하는 것을 극히 꺼린다는 말도 있었는데... 이것도 이야기가 되다가 어느 때부터 논의가 종결되었는데...

이젠 아스팔트에서 세슘이 나오다니... 그리고 그 곳엔 집들이 밀집해 있고,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곳이지 않은가? 

시민단체에서는 상당히 위험하다고 하고,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는 인체에는 무해하다고 한다. 누구 말이 맞을까? 

이런 대립은 원자력이 생긴 이래 지속되어온 문제 아니던가.  

원자력이 나온 지 50년이 넘었는데, 이 정도면 임상적으로 결과가 나왔어야 하는데, 세계 여러나라에서 기준이 다 다르고, 이를 의사들이 의학적인 기준으로 제시하는 경우도 드물다. 오히려 원자력 관계자들이 한계치를 정해놓고 있는 상태 아니던가. 

그렇다면 진실은 무엇인가?  

우리가 원자력을 대하는 태도는 세 가지가 있다. 

우선 원자력은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에너지다. 그리고 원자력 발전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은 긍정적인 점으로 상쇄하고도 남는다. 원자력과 관련된 과학자들, 학자들, 그리고 관계자들. 

둘째, 원자력은 우리가 반드시 없애야 할 괴물이다. 지금 없애지 못하면 후손들에게 부담을 떠넘기게 된다. 원자력의 장점은 부정적인 점을 상쇄하지 못한다. 오히려 장점이 부정적인 면에 비하면 새발의 피에 불과하다. 환경, 생태주의자들. 그리고 일부 원자력을 공부한 과학자들. 

셋째, 뭐가 뭔지 모르겠다. 과학자들이 어련히 알아서 주장하겠나. 하지만 웬지 찜찜하긴 하다. 대다수의 사람들. 

대다수의 사람들이 원자력에 대해서 무관심한 것이 아니라, 몰라서 어떻게 이야기할지 모른다. 대학교육을 70%이상이 받는 우리나라에서 몰라서 못한다는 얘기는 원자력이 그만큼 알기 힘든 존재라는 뜻이기도 하고, 그만큼 정보가 공개되어 있지 않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다행히 서울시에서는 2001년 이후에 공사한 아스팔트는 전수조사하기로 했다는데...  

이제 녹색평론도 성년이 되었다.  

무려 20년 동안 이 잡지가 우리에게 근본적인 문제를 생각하게 해준 공로는 아무리 칭찬해도 모자람이 없다. 이제는 이 잡지가 스스로 서는, 공자 말에 의하면 이립을 향해서 가고 있다. 그만큼 우리 사회에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많이 할 것이라 믿는다. 

이 문제제기를 받아 해결하려는 노력들을 해야 한다. 이미 많이 노력들을 하고 있지만, 특히 농업 분야에서는 개인적인 노력들을 얼마나 많이 했는가. 하지만 이 노력들을 한 방에 거품으로 만들어버리는 정책들이 많으니... 개인적인 노력들에 더하여 정책들을 바꿀 수 있는 노력들도 하여야 한다. 

이 점에 대하여는 이번 호, 배병삼의 글이 좋다.  

유교에서의 정치. 공자가 경제만 생각하는 염유를 파문한 이야기. 우리에게는 진정한 정치가 필요하다는 이야기. 공자를 국민이라고 한다면 염유는? 

그리고 원자력에 관한 이야기. 정말로 우리가 생각해야 할 원자력은 첫 번째 입장도 아니고, 세 번째 입장도 아니지 않을까. 원자력 관계자들, 그리고 정치인들이 이런 책을 읽어야 하는데... 

몸에 유해한 물질이 왜 유해한지 피해자가 입증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물질이 어떻게 무해한지를 만든 사람이 입증해야 하듯이, 원자력은 여러 시민단체, 환경단체에서 이래서 유해하다가 아니라, 원자력 관계자들이 이래서 유해하지 않다고 입증해야 할 책임이 있다. 그렇다면 그들은 지금껏 제시된 피해사례들에 대해서 명확하게 해명해야 한다. 

해명하지 못하면 원자력은 유해하다고 봐야 한다. 그게 요즘 원칙 아니던가. 

성년이 된 녹색평론은 원자력은 유해하다고 분명히 선언했다. 그렇담 입증 책임은? 일반 사람이라면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입증이 되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