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18일) 한진중공업 청문회가 국회에서 열렸다.  

청문회장에는 한진중공업 회장인 조남호가 나왔고, 이 조남호를 국회의원들이 상당히 강하게 질타했다고 한다. 질타했다고 한다가 끝이다.  

더이상 이야기가 진척되지 않는다. 여전히 해고자들은 해고상태이고, 이를 막기 위해 고공 크레인에 올라간 김진숙은 아직도 그곳에 있다.  

김진숙이 청문회장에 나와, 조남호에게 질문을 해야 하지 않나?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실 김진숙의 상황, 비정규직의 상황을 공감하지 못하는(?적어도 나한테는 그렇게 보인다) 국회의원들이 하는 질문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85호 크레인에서 보면 조남호나 국회의원이나 오십보 백보일텐데 말이다. 

브레히트가 생각났다. 벌써 오래 전에 그는 이런 시를 썼다.  

이 시가 1939년에 쓰여졌다는데, 이 시에 나오는 의문들 중 해결된 것이 있던가?  

아직도 우리는 이 시의 노동자처럼 의문을 지니고, 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서 행동하지 않나?  

책 읽는 노동자, 책 속에 나온 그 위대함, 화려함 속에 감춰진 자신들의 노동, 자신들의 희생을 깨우친 사람이다. 

각성한 노동자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 대입해 보자. 테베, 바빌론, 리마, 비잔틴, 만리장성 등을 대기업으로, 알레산더, 시이저, 필립, 프리드리히 등을 대기업 회장으로...  

그러면 이번 한진중공업 문제에 대한 답이 보이기 시작한다.  

답은 명확하다. 단지 회피할 뿐이다. 

아마 김진숙이 청문회장에 나왔다면 이 시와 같은 질문을 하지 않았을까 상상을 해본다. 

어떤 책 읽는 노동자의 의문 - 베르톨트 브레히트 

성문이 일곱 개나 되는 테베를 누가 건설했던가? 

책 속에는 왕의 이름들만 나와 있다. 

왕들이 손수 돌덩이를 운반해 왔을까? 

그리고 몇 차례나 파괴되었던 바빌론- 

그때마다 그 도시를 누가 재건했던가? 황금빛 찬란한 

리마에서 건축노동자들은 어떤 집에 살았던가? 

만리장성이 준공된 날 밤에 벽돌공들은 

어디로 갔던가? 위대한 로마제국에는 

개선문들이 참으로 많다. 누가 그것들을 세웠던가? 로마의 황제들은 

누구를 정복하고 승리를 거두었던가? 끊임없이 노래되는 비잔틴에는 

시민들을 위한 궁전들만 있었던가? 전설의 나라 아틀란티스에서조차 

바다가 그 땅을 삼켜 버리던 밤에 

물에 빠져 죽어가는 사람들이 노예를 찾으며 울부짖었다고 한다. 

 

젊은 알렉산더는 인도를 정복했다. 

그가 혼자서 해냈을까? 

시이저는 갈리아를 토벌했다. 

적어도 취사병 한 명쯤은 그가 데리고 있지 않았을까? 

스페인의 필립왕은 그의 함대가 침몰당하자 

울었다. 그 이외에는 아무도 울지 않았을까? 

프리드리히II세는 7년전쟁에서 승리했다. 그 이외에도 

누군가 승리하지 않았을까? 

 

역사의 페이지마다 승리가 나온다. 

승리의 향연은 누가 차렸던가? 

10년마다 위대한 인물이 나타난다. 

거기에 드는 돈은 누가 냈던가? 

 

그 많은 사실들. 

그 많은 의문들. (1939년) 

브레히트 시집, 김광규 옮김, 살아남은 자의 슬픔, 한마당 104-105쪽에서

 
덧말 : 알렉산더는 인도 정벌에 실패하지 않았던가.이 당시 브레히트가 알고 있던 역사적 사실과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이 조금 다를 수 있다. 그러나 그런 차이는 이 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