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 대학생들이 던진 33가지 질문에 답하기
엄경희 지음 / 새움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면서 제일 먼저 떠오른 것은 신동엽의 산문시1였다. 

그의 시에는 탄광의 광부들도 하이데거, 장자, 러셀의 책을 읽으며, 정치인의 이름은 몰라도 극작가는 알고 있으며, 대통령이 자전거를 타고 시인의 집에 놀러간다고 한다. 

얼마나 아름다운 사회인지, 신동엽이 꿈꾸던 세상, 그런 세상이 온다면 평화로운, 그리고 풍성한 삶이 영위되는 사회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이 책의 지은이는 왜 시가 어려울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우리네 교육이 잘못되었음을, 시는 어려움을 본질로 하고 있지만, 이 어려움이 곧 시읽기의 즐거움임을 알게 교육이 되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오히려 학교교육을 받으면 받을수록 시에서 멀어지는 현상이 잘못되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래서 지은이는 대학 강의 경험을 통해 질문을 32개로 정리해서 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야기라고 표현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시에 대해서 학술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이야기식으로 전개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의 질문은 32개인데, 왜 시가 어려운가를 추가하면 33개의 질문이 된다. 그리고 이 질문들은 우리가 시를 읽으면서, 또는 배우면서 느끼거나 생각했던 문제들이다. 이에 대한 지은이의 답변은 매우 친절하다. 그래서 이해하기 쉽고, 시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더구나 이 책의 장점은 각 질문에 대한 답을 하면서 거기에 해당하는 시를 예로 들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을 읽어가면 자연스레 최소한 32편의 시를 읽게 된다. 더 많은 시들이 소개되고 있지만, 최소 32편의 시를 읽으면 시에 흥미가 없던 사람도 관심을 가지게 되는 시가 한둘쯤은 나오게 마련이고, 그렇다면 이 책은 그 자체로도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 예로 들고 있는 시들의 출처를 명확히 밝혀두었기에 시집을 사서 볼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해주고 있으니 시에 대한 책으로 이 책만큼 일반인들에 다가가기 쉬운 책은 별로 없다고 본다. 

또 다른 장점은 각 질문의 끝에 사유의 끈이라는 또 다른 글을 마련해 놓고 있다. 이 사유의 끈은 시를 설명한 부분과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는 책들을 소개하고 있다. 시와 이런 책이 무슨 상관이 있어 할 수도 있는데, 책의 앞부분에서 지은이가 '생각과 호기심과 지식 욕구를 자극하고 상상력을 풍부하게 해줄 수 있는' 책들을 소개한다고 했듯이 이런 책들은 시를 좀더 잘 이해하고 느낄 수 있게 해주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무슨 책을 읽을까? 좋은 책 없을까 고민하는 사람들에게는 32권이 넘는 책을 읽는이의 눈 앞에 펼쳐놓는 이 책은 이 부분으로도 많은 도움을 준다. 

이렇게 사유의 끈에 소개된 책들과 많은 시들을 읽으면 우리도 신동엽의 산문시1에 나와 있는 사람들처럼 풍부한 감성과 지성을 소유하고 살지 않을까. 아닌 것을 아니라고 말하고, 정치인보다는 예술인들을 더 대우하는, 대통령과 시인이 대등한, 아니 대통령이 시인의 집을 방문하는 그런 사회라면... 

시는 감성을 풍부하게 하고, 이해하기 위해 지성을 단련시킨다. 그리고 그 무엇보다도 바로 시를 통해 우리는 다른 사람에 대해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감하는 능력, 그것은 사회를 좀더 좋은 쪽으로 가게 한다. 공감은 사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비폭력, 평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에, 남과 공감할 수 있는 사람이 많은 사회는, 신동엽의 시에 나와 있는 그런 사회일테고, 그런 사회가 바로 민주공화국 아닐까... 

비약을 해서 이야기하면... 플라톤은 자신의 공화국에서 시인을 추방해야 한다고 했는데, 반대로 우리는 이런 의미에서 공화국에서는 시인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해야 한다.  

시가 마냥 어렵다고 느낀 사람, 학교 다닐 때 시험을 위해서 시를 배웠지, 그 이후엔 시는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사람, 한 번 이 책을 읽어보자. 시는 어렵지만, 그냥 어려워서 우리가 포기해야 하는 대상이 아니고, 어렵기에 더한 즐거움을 주는 대상이라는 사실, 그리고 시는 시험을 위해서가 아니라, 나와 또 다른 나인 남을 위해서 함께 살기 위해서 필요한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산문시1 

스칸디나비아라든가 뭐라구 하는 고장에서는 아름다운 석양 대통령이라고 하는 직업을가진 아저씨가 꽃리본 단 딸아이의 손 이끌고 백화점 거리 칫솔 사러 나오신단다. 탄광 퇴근하는 광부들의 작업복 뒷주머니마다엔 기름묻은 책 하이덱거 럿셀 헤밍웨이 장자 휴가여행 떠나는 국무총리 서울의 삼등대합실 매표소 앞을 뙤약볕 흡쓰며 줄지어 서 있을 때 그걸 본 서울역장 기쁘시겠오라는 인사 한 마디 남길 뿐 평화스러이 자기 사무실문 열고 들어가더란다. 남해에서 북강까지 넘실대는 물결 동해에서 서해까지 팔랑대는 꽃밭 땅에서 하늘로 치솟는 무지개빛 분수 이름은 잊었지만 뭐라군가 불리우는 그 중립국에선 하나에서 백까지가 다 대학 나온 농민들 추럭을 두대씩이나 가지고 대리석 별장에서 산다지만 대통령 이름은 잘 몰라도 새이름 꽃이름 지휘자이름 극작가이름은 훤하더란다 애당초 어느쪽 패거리에도 총쏘는 야만엔 가담치 않기로 작정한 그 지성 그래서 어린이들은 사람 죽이는 시늉을 아니하고도 아름다운 놀이 꽃동산처럼 풍요로운 나라, 억만금을 준대도 싫었다 자기네 포도밭은 사람 상처내는 미사일기지도 탱크기지도 들어올 수 없소 끝끝내 사나이나라 배짱지킨 국민들, 반도의 달밤 무너진 성터가의 입맞춤이며 푸짐한 타작소리 춤 사색뿐 하늘로 가는 길가엔 황토빛 노을 물든 석양 대통령이라고 하는 직함을 가진 신사가 자건거 꽁무니에 막걸리병을 싣고 삼십리 시골길 시인의 집을 놀러 가더란다. 

신동엽 전집, 창작과비평사, 83쪽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