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전문학 문학치료와 만나다
서은아 지음 / 박문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사람들은 아마 조금 더 행복하지 않을까.
자신의 모습을 보고, 고칠 점은 고치고 좋은 점은 더 살리고.
다만 이 거울이 맘을 상하게 하면 안 되니,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이 자신을 드러내되, 자신이 아닌 남의 모습으로 나타나게 한다면 자연스레 거리를 두게 될테니, 맘은 덜 상하고, 생각은 더 많이 하고 따라서 행동도 쉽게 고칠 수 있지 않을까.
고전 작품에 관한 책을 읽다보면 늘, '고전은 나를 비추는 거울이다. 그러나 그 거울은 나를 거리를 두고 볼 수 있게 한다'는 생각이 든다. 거리를 두고 나를 본다는 것은 나를 객관화 할 수 있다는 이야기니, 자신을 객관화하면 더 정확하게 자신을 판단할 수 있다.
인식은 곧 실천을 낳아야 하므로, 자신을 제대로 인식하면 행동 역시 바르게 변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고전이 의미가 있단 생각이 든다.
이 책은 고전작품과 문학치료를 연관짓고 있다. 굳이 문학치료라고 어려운 말을 쓰지 않더라도, 문학을 읽는 행위자체가 치유행위가 될 수 있으니, 그냥 우리가 알고 있는 고전문학 작품에서 어떤 면을 찾아냈는가를 중심으로 이 책을 읽으면 된다.
가령 '손없는 각시'에서는 아직 독립적이지 못한 생활을 손이 없는 상태로 표현하고, 자식을 구하기 위해 노력할 때 손이 생긴다는 이야기에서 스스로 자신의 일을 해결해낼 때 비로소 온전한 존재가 된다는 점을 찾아내고 있다. 그렇다. 우리가 남에게 의존하는 삶을 살 때는 이미 내 손은 내 손이 아니고, 남의 도움만을 필요로 하게 되는 불필요한 존재이니 손이 없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일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 때에야 손이 제대로 나올 수 있겠지.
이런 식으로 고전 작품을 하나하나 분석해 나간다. 많은 경우 새로운 내용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렇게 해석할 수도 있구나. 아, 그렇구나. 나도 이런 작품을 읽으면 이렇게 내 삶을 되돌아볼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구렁덩덩 신선비에서는 자신의 미천한 과거를 대하는 태도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고, 우렁각시에서는 고부갈등을 생각할 수 있고, 나무꾼과 선녀에서는 장인과 사위의 갈등을 생각할 수 있고, 운영전에서는 사랑과 현실 사이에서 조화를 이루지 못한 결과가 어떻게 되는지를 생각할 수 있고, 이와 상대적으로 영영전에서는 사랑과 현실 사이에서 조화를 이룬 결과가 어떻게 되는지를 생각할 수 있게 해준다.
앞 부분에서는 적용사례도 들고 있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스스로 적용하기에는 적용사례가 약간은 추상적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어떠랴, 한 번 생각해보면 좋지 않겠는가.
그밖에도 많은 작품이 있어서 새로운 생각을 접할 수 있고, 자신의 생활과 작품에서 나온 내용을 비교ㅡ 적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적용방법을 문학치료라는 이름으로 알려주고 있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작품을 좀더 깊이 있게 읽고, 자신의 삶에 적용해보고, 내 삶을 비춰보고, 내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해보고 싶은 사람, 한 번 이 책을 읽어보자. 고전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친숙한 이야기에 이런 뜻이 숨어 있고, 이걸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