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교육을 십 년 넘게 받았다. 제도권 교육 말고는 대안 교육이란 생각도 못 해보고 학교 생활을 했다. 운이 좋았는지, 아니면 안 좋았는지, 사실 나는 운이 좋았다고 생각하지만, 학생들은 학원수강을 하지 못하게 한 정책으로 교육이란 오로지 학교에서 일어난다고만 생각하고 지냈다. 

이런 우리들에게 학교에 다니지 않는다는 것은 일탈, 학교에 적응하지 못한 일탈, 부적응에 불과했고, 이는 곧 사회에서 낙오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만큼 학교는 우리에게 절대적인 존재였다. 

그러나 90년대 후반 봇물처럼 대안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대안교육에 몸담고 있거나, 관심을 지니고 있다. 

제도권 교육에서 벗어나 공동육아부터 공부방, 그리고 비인가 초중고까지, 이제는 대안 대학까지도 모색하고 있는 등나름대로의 철학을 지니고 교육활동을 해나가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제도권 교육도 바뀌고 있다. 

혁신학교라는 이름으로 경기도, 서울에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이는 대안교육이 나름대로 자리를 잡아온 결과일지도 모른다. 

대안교육과 제도권교육이 서로 배타적으로만 지내지 않고, 함께 교육의 길을 모색할 수 있는 길이 있다고 본다. 제도권 교육은 대안 교육을 엿보고, 대안교육은 제도권 교육이라해서 무조건 배제하지 않고 함께 가려고 한다면 말이다. 

이렇게 대안교육에 관심을 가지게 해준 책이 바로 격월간지인 민들레이다. 99년에 창간한 이 잡지는 10년이 넘도록 대안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어떤 때는 지지를, 어떤 때는 비판을, 어떤 때는 대안을 제시해주고 있다. 

대안교육에 아이들을 보내지 않아도 관심을 갖고 있다면 아이가 어느 학교에 다니던 좀더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한 번 읽어보자. 어느 부분을 읽어도 좋다. 생각할 거리도 많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