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이 필요한 시간 - 강신주의 인문학 카운슬링
강신주 지음 / 사계절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신주가 쓴 글은 잘 읽힌다. 그가 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래서 그의 글은 쉽다는 느낌을 준다. 세상에 철학에 관한 글인데, 쉽단 생각을 하게 하다니... 그래서 제목에 철학이 들어가도 별로 거부감이 생기지 않는다. 대단한 글솜씨다. 아니, 그만큼 내공의 힘이 깊다고 해야 하나.

장자부터 시작했다. 그의 글을 읽게 된 계기가. 

"장자, 차이를 횡단하는 즐거운 모험" 이 책에서 소백산 칼바람 얘기가 나온다. 그 칼바람을 정면으로 맞으며 소백산을 걷는 일.. 그러나 철학은 이러한 칼바람을 맞는 일과는 다르다. 아니다. 철학은 이렇게 칼바람을 온몸으로 맞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칼바람 맞고서도 정상에 서는 것이다. 그,렇게 정상에 섰을 때 우리는 세상을 향해 소리칠 수 있다. 철학, 별거 아니구나! 이런 생각이 들었다. 장자에 대해 참 재미있게 읽었다고나 할까.

두 번째 책, "철학적 시읽기의 즐거움-우리 시에 비친 현대 철학의 풍경" 시와 철학이 따로 떨어질 수 없으니, 그가 시도한 시읽기를 통한 철학에 다가가기도 참 좋다. 결국 시를 이해한다는 것은 시를 온몸으로 받아들인다는 얘기이고, 이는 바로 자신이 철학적으로 산다는 얘기가 되기 때문이다. 철학은 우리 삶에서 떨어져 나온 어떤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삶을 구성하는 어떤 것, 우리 삶 자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도 읽고, 철학에 대한 생각도 하고, 일석이조(一石二鳥)

이들에 이어서 읽게 된 책. "철학이 필요한 시간" 

이 책을 읽으면서 강신주는 어쩌면 무림의 고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무림의 고수는 결코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다. 자신이 어떤 실력이 있다고 내세우지도 않는다. 자신을 알아달라고 누군가에게 하소연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혹 제자를 받게 되면 제자에게 딱딱한 이론을 가르치려고 하지도 않는다. 원론을 가르치고, 이게 기본이야 하지도 않는다. 그냥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고, 해야만 하는 일을 하게 한다. 그 일을 하면서 자연스레 무공을 익히게 한다. 그것이 바로 무림고수다. 

금강경의 첫부분에 대한 글을 가끔 읽는다. 세상을 제도한다는 부처도 금강경이라는 난해한 경전에서 처음 시작은 일반인들과 다르지 않다. 그냥 밥 먹고 앉아 쉰다. 그 행위에 부처가 되는 법이 있단다. 

철학도 마찬가지다. 어려워서는 안된다. 우리의 일상생활에 철학이 이미 들어 있는 것이다. 이 사실을 알려주는 사람, 그 사람이 바로 철학자이어야 한다. 그런데 철학이라고 하면 난해한 용어부터 생각하고, 무슨 무슨 주의부터 생각하게 된다. 이는 학교교육이 잘못된 데 있겠지만, 이 잘못된 교육에서부터 벗어나려는 노력을 우리가 하지 않는데도 책임이 있다. 

즉 모든 잘못을 교육자에게만 돌려서는 안된다. 우리 자신이 철학하면 이미 마음의 문을 닫아버린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앞의 경우와는 다르게 강신주는 우리에게 지금까지 우리가 철학에 대해 배워온 것을 잊게 한다. 그리고 다시 시작하게 한다. 결코 어렵지 않게, 저 멀리 구름 따먹는 소리가 아닌, 바로 우리 일상생활에 있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그래서 그는 금강경의 부처처럼, 철학이 결코 우리 일상에서 떨어져 있지 않음을 자연스레 알게 한다. 그는 고수다. 엄청난 내공을 지닌 고수.

처음부분도 시작하게에 참 좋은데, 끝부분도 좋다. 나는 이 책은 끝부분을 먼저 읽어도 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의 에필로그(지나가는 말이지만 에필로그라는 어려운 말 대신, 맺음말, 또는 나가는 말 정도로 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에서 저자는 독서를 여행에 비유하고 있다. 여행, 자신을 비우고, 간 곳에 감응하고, 결국 자신의 일상을 낯설게 바라보는 경험을 하는 것, 그 때서야 한층 성숙해진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고, 독서도 마찬가지라고.  

이 책을 읽고 독자가 조금이라도 감응을 했다면 그게 다행이라고. 

그렇다. 48명의 철학자와 그들의 저서가 나오는데, 이 저서들을 안 읽었다고 기죽을 필요가 없다. 걱정할 필요도 없다. 우리가 이 책들을 다 읽었다면 굳이 강신주가 쓴 이 책을 읽겠는가. 우리는 이 책을 아예 안 읽었거나 일부만 읽었기 때문에 강신주의 이 "철학이 필요한 시간"을 읽는다. 그리고 그가 얘기해준 내용에 감응도 하고, 반발도 하고 한다. 이 책을 읽다가 어떤 철학자에게 꽂혔다면 그 철학자의 책을 읽으면 된다. 읽어서 제 것으로 만들면 된다.   

이렇듯 이 책을 읽으며 감응하고, 반발하는 과정이 바로 철학을 하는 시간이고, 인문학적인 소양을 쌓는 시간이다. 그리고 우리는 바로 이 과정을 통해서 나를 낯설게 볼 수 있는 여유를 가지게 된다. 결국 여행이든, 독서든, 철학이든 여유에서 나온다.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이 책을 읽는다면 이는 책을 읽는다는 행위를 기계적 행위로 취급하는 것밖에는 안된다.  

여유, 그것에서 낯섬이 나오고, 낯섬에서 성찰이 나온다. 성찰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삶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 책의 마지막이 마르크스의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로 되어 있다.  그 중에 마지막 11번째 테제가 생각이 났다. "철학자들은 세계를 단지 여러가지로 해석해왔을 뿐이지만, 중요한 것은 그것을 변혁시키는 일이다" 대학 시절, 얼마나 마음을 울리던 말이었던가. 아니 지금도 이 말은 유효하고, 이 책을 읽은 다음에도 역시 유효하다.  

책을 읽는다는, 철학을 한다는 것은 단지 해석을 한다는 차원이 아니라, 변혁, 실천을 한다는 차원으로 나아가야 한다. 아마도 이 책을 읽고나면 조금은 자신의 삶이 변화되어 있다고 느끼지 않을까. 이 때문에 이 책은 단지 해석의 차원이 아니라, 실천의 차원으로까지 나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처음부터 끝까지 읽지 않아도 된다. 그냥 마음에 드는 부분을 읽고 그만 책을 접어도 된다. 그래도 이 책은 가치가 있다. 그것이 바로 낯설게 하기고 자신을 다르게 바라보는 능력을 알게모르게 키워줬으니 말이다. 

그래서 강신주는 고수다. 어려운 철학용어를 얘기하지 않아도, 철학적으로 살라고 강요하지 않아도 자연스레 우리 몸에 철학함이 밴다. 고기집에 가면 고기 냄새가 배듯이 그의 책을 읽으면 철학이 우리 몸에 자연스레 밴다. 그래서 그의 책을 읽으면 즐겁다. 읽는 과정도 즐겁고, 읽은 뒤에도 그 향기를 맡을 수 있어서 즐겁다. 

덧말: 근데, 내가 알던 지식과는 다른 게 하나 있다. 이거 기억이란 믿을 게 못된다지만, 아무래도 이건 내 기억이 더 맞는다는 생각이 드는데... 270쪽 노자의 도덕경을 설명하면서, 덕치를 이야기할 때 세종을 예로 드는데, 집현전 학사 중에 세종이 어의를 벗어주었다는 학사는 성삼문이 아니고 신숙주 아니었던가. 나는 일화를 통해 이를 신숙주로 알고 있었고, 이 일이 나중에 사육신에게 신숙주가 욕 먹는 계기가 된다고 알고 있었는데...  허나 근거를 찾지는 못 하겠고, 오직 기억에 그러하니...이거 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