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서 열전 1 한서 열전 1
반고 지음, 신경란 옮김 / 민음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서(漢書)' 한나라 역사책. 세계사 시간에 배운 적이 있다. 사마천의 사기, 반고의 한서. 이름만 알고 있다가 도서관에 '한서 열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빌려 읽게 되었다. 


읽으면서 이거, 도대체 이 인물들은 나라에 충성한 거야, 황제에게 충성한 거야? 하는 생각도 들었고, 그들이 백성을 위한다는 일이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하는 생각도 했다.


충신이라 불리는 자들은 백성들을 위해 황제에게 옳은 말을 하는 사람이어야 할 텐데, 과연 이들이 백성들을 위해서 어떤 일을 했는지는 이 열전을 통해서는 잘 알 수 없다. 다만 자신의 이름을 날리고, 또 황제에게 충언을 하는 내용은 나와 있는데, 그러한 충언이 백성들의 삶에 밀접하게 관계맺고 있지는 않다는 생각이 들었으니...


백성은 멀다. 황제는 가깝다. 마치 주먹은 가깝고 법은 멀다는 말과 비슷하게, 이들은 백성들의 삶을 잘 알지 못한다. 황제 곁에서 권력을 누리면서 살았던 사람들이 대부분이니까. 그럼에도 백성들을 위한 정책을 건의한 사람들도 있었지. 그들을 대체로 충신이라고 할 수 있을 테고. 


그 점이 이 '한서 열전' 1권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고 있지만, 역사는 그러한 충신을 기리는 역할을 해서, 다른 사람들이 본받게 하고자 하겠지. 반면에 간신이라는 사람들도 열전에 기록하는 이유는 그렇게 하면 집안이 망한다는, 소위 패가망신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본보기로서 작동하도록 한 것일 테고.


반고는 한나라 후기 사람이다. 후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사기를 쓴 사마천이 전한 사람이니, 그가 사기 열전에서 다루지 못한 인물들이 이 '한서 열전'에 많이 나올 수밖에 없다. 차례를 찾아보니 2권에는 사마천도 등장한다. 그렇지. 사마천이 '한서 열전'에 등장하지 않으면 안 되지...


1권을 읽은 소감은 '유방백세 유취만년(流芳百世 遺臭萬年)'이다. 좋은 행적으로 이름을 날린 사람이나 나쁜 행동으로 악명을 떨친 사람 모두 역사에 이름을 남긴다. 그 남긴 이름이 아주 다르게 받아들여지지만.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했는데, 이 때 사람이 남기는 이름은 악명, 오명이 아니라 좋은 이름을 말하는데, 그럼에도 나쁜 행적으로 그 이름을 역사에 깊게 새긴 사람들이 있다. 이 '한서 열전'에서도 마찬가지다.


특히 황제의 친인척들 중에 '00왕'으로 봉해진 자들의 행적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이런 인간들이 남들 위해 군림하다니... 권력을 탐하는 자들끼리 죽이고 죽는 것이야 그렇다쳐도, 이들로 인해 무고한 백성들이 얼마나 고초를 겪었는지... 툭하면 전쟁, 전쟁이니... 전쟁에서 자기들이야 명령을 내리면 끝이지만 전쟁터에서 직접 싸우는 병사들에게는 목숨이 걸려 있는데...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병법에서 가장 최우선이라는 말을 명심하는 장군이 몇이나 있겠는가. 이 '한서 열전'에서도 흉노와 끊임없이 전쟁을 하는데, '이광, 이릉, 곽거병'이나 진나라 멸망 후 다시 패권을 겨누는 초한 전쟁 때 장군들이 많이 나오는데 이들 중에는 전쟁을 하고 싶어 안달인 장군들도 있었으니...


이런 열전을 읽으며 전쟁의 폐해가 과연 역사에 기록된 숫자로만 인식될 수 있는지 생각해 보게도 된다. 몇 천을, 몇 만을 죽였다고 되어 있는데, 그 죽어가는 사람들이 그냥 숫자로 남겨질 수 있을까?


숫자 이면에 있는 사람을 보아야 하는데, 역사는 많은 전쟁에서 사람을 숫자로 대체한 경우가 많다. 사람을 사람으로 보지 않는 전쟁, 그 전쟁이 끝나고 나서도 다시 서로를 죽이는 일을 반복하는 것. '한서 열전'에는 이러한 죽임이 많이 나와 있다 


아직 나라의 기틀이 완성되지 않았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기틀을 잡는 과정에서 일어난 수많은 살육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 따라서 한나라 초기에는 전쟁을 잘 수행한 사람이 역사에 이름을 남길 수 있었겠지만,, 지금은 아니다. 그래서는 안 된다. 


'한서 열전'에 나오는 많은 인물들을 통해서 과연 우리는 어떤 이름을 남길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역사에 이름을 남기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자기 자식에게는 이름을 남긴다.


이름과 더불어 행적도. 그러므로 자식에게 부끄럽지 않기 위해서도 어떤 인물들의 이름이 아름다운 이름으로 남았고, 어떤 인물들의 이름이 악취를 풍기는 이름으로 남았는지 알아야 한다. 


그런 앎에로 이끄는데 이러한 '열전'만큼 좋은 역할을 하는 책도 없다. 반고는 그러한 점을 살펴서 당시에 자신이 찾을 수 있는 자료를 찾아 사실적으로 열전을 기록했다고 한다.


역사를 자신에게 맞게 왜곡하는 것이 아니라 기록에 따라서 정리하는 것, 우리나라 실록 역시 마찬가지 아니었던가. 그러한 기록들로 인해 좋은 삶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것 아니겠는가.


일 권은 '진승-항적 전'으로 시작한다. 진시황이 죽고 반란을 일으킨 진승과 큰 세력을 형성한 항우. 유방이 항우를 항우로 부르지 못하게 했다고 해서 '항적'이라 했다고 하니, 한때 황제를 칭했던 항우조차도 죽은 뒤에는 제 이름으로 불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으니... 살아서의 행동을 더 조심해야 한다는 생각도 들고...


진승에게서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는가'라는 말이 나왔다고, 그렇게 진나라 말기부터 시작한 일 권은 사마 상여로 끝난다. 뒤로 갈수록 장군보다는 문인들이 나오기 시작하는데, '동중서'와 '사마 상여'가 대표라고 하겠다. 한나라에 유학을 숭상하게 만든 동중서. 글로써 한 무제를 감동시킨 사마 상여.


글의 힘을 깨닫게 하는데, 이 열전에는 이러한 글의 힘을 '상소문'을 통해서 잘 보여주고 있다. 자신의 주장을 글로 황제에게 전해 역사에 남게 한 것들. 하긴 말로 한 주장들이 어떻게 제대로 후대에 전해지겠는가. 잘못 전해질 수도 있는데, 상소문은 원본이 남아 있는 한 그대로 전해질 테니, 글을 쓸 때 더 정성을 들여 쓰지 않았을까 하기도 하고.


계속되는 2권. 더 많은 인물을 만날 시간이다.


아쉬운 점 

각 권의 앞에 한나라 연표와 이 열전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표로 정리해 보여줬으면... '한서'에는 그렇게 되어 있는지 모르지만, 열전이면 수많은 인물들이 나오는데, 그 인물들이 한나라 역사에서 어느 왕 때에 활동했는지를 한 눈에 들어오게 해주는 표가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한서 열전'에는 한 인물을 이야기한 뒤 그 자손들을 나열하는 경우가 있다. 손자에 손자 대에 이르러 대가 끊겼다는 등의 서술이 있는데... 표가 있으면 더 이해하기 쉬울 거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