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교육 - 덜 너그러운 세대와 편협한 사회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조너선 하이트.그레그 루키아노프 지음, 왕수민 옮김 / 프시케의숲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의도와 나쁜 생각이 만나 어떻게 한 세대를 망치고 있는가'라는 문장이 원래 부제라고 한다. 지금 미국 사회를 분석하고 있는 책인데, 2018년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지금도 다시 트럼프 시대니, 지금이라고 해도 된다.


이때 저자들은 미국 대학에서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의 강연을 취소하게끔 강제하는 일들이 빈번해지는 것을 보면서 어째서 이렇게 극단적인 배타적 사회가 되었는지 생각을 한다. 나와 다른 생각을 지닌 사람을 용납하지 못하는 사회. 그런 사회가 행복할 수는 없다.


다양성이 사회를 더 풍요롭게 한다는 것에는 대부분 동의하지만 실제 사회에서는 다양성을 억압하고 자신들의 관점을 강요하는 경우가 많다. 문화, 관습, 제도라는 이름으로 그 속에 속하고 따르기를 바라는 경우, 그러한 것에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을 배제시키는 모습들을 흔히 발견하곤 한다.


사회에서 이익 공동체에서는 이런 경우가 있을 수 있겠지만 진리 탐구의 장이라고 하는 대학에서는 다르다는 이유로 배제하면 안 되는데, 현재 미국 사회에서는 그러한 일이 비일비재하다고 한다.


어째서 그럴까? 무엇이 잘못되었을까? 서로를 용인하고 함께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아니라 내 편, 네 편을 확연하게 가르고 내 편이 아니면 배제해야 할 존재로 취급하는 문화를 지닌 나라가 과연 좋은 나라라고 할 수 있는가?


이런 관점을 번역자들은 '나쁜 교육'이라는 제목으로 달았다. 사람은 교육을 통해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존재하게 되니까. 이때 쓴 '교육'이라는 말은 학교 교육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가정에서부터 사회까지 존재하는 사고방식, 행동방식들을 통해 의식적으로 또 무의식적으로 습득하게 되는 과정을 '교육'이라고 한 것이고, 그것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나쁜 교육'이라고 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미국 사회를 분석한 책이지만, 지금 우리 사회에도 적용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 역시 미국과 마찬가지로 정치적 양극화가 심하며 - 완전한 양당 체제라고 할 수 없지만, 미국도 민주당-공화당이 양당 체제를 구축하고 있지만 군소 정당들도 있으니- 다른 의견을 배척하는 경우도 무척 많다.


특히 대학에서 학문적 다양성은 말할 것도 없고 사상적 다양성도 잘 인정이 되지 않고 있는 현실이지 않은가. 미국 대학의 교수들은 대부분 자신들이 진보라고 생각한다는데, 우리나라 교수들은 어떤지?


보수든 진보든 대학은 다양한 사상들이 논쟁을 통하여 진리를 향해 나아가야 하는데, 어느 한쪽의 사상만을 가르치는 대학이라면 그 대학은 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은 지금 미국 사회는 세 가지 잘못된 신념으로 인해 위기에 빠졌다고 한다. 그 잘못된 신념은 


. 유약함의 비진실 : 죽지 않을 만큼 고된 일은 우리를 더 약해지게 한다.

. 감정적 추론의 비진실 : 늘 너의 느낌을 믿어라.

. '우리 대 그들'의 비진실 : 삶은 선한 사람들과 악한 사람들 사이의 투쟁이다. (17쪽)


이게 미국만의 일일까? 이런 사고 방식을 지닌 사람들이 우리 사회에도 많지 않은가. 아이들에게 안전을 제공해야 한다는 말, 맞다. 아이들은 안전하게 자랄 권리가 있다. 하지만 안전과 모험을 구분하지 못하고, 아이들에게 모험할 기회조차도 주지 않으면, 아이들은 더 약해진다.


즉 헬리콥터 양육으로 인해 미국 아이들은 더더 불안감과 우울감에 휩싸이게 되었다고 하는데, 이는 어렸을 때 경험을 통해서 그러한 어려움들을 해결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누군가가 대신 해결해주는 습관, 그것은 아이들을 더욱 나약하게 한다. 그러니 고된 일이 우리를 더 나약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는 고된 일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자신의 느낌을 믿으라는 것, 자신의 감정이 자신을 속일 때가 많다는 것을 우리는 알지 않은가. 오히려  아이들에게는 감정대로 행동하기보다는 이성으로 그 상황을 한번 더 생각하도록 해야 하지 않은가.


무엇이 옳고 그른지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줘야지, 자신의 감정이 이건 아냐 하면 그냥 아닌 것으로 취급하도록 해서는 안 되지 않는가. 그러니 이성을 통해서 상황을 파악하는 태도를 지니도록 해야 한다. 그렇다고 감정을 무시하자는 말은 아니다. 자신의 감정을 소중히 여기도록 해야 한다는 것은 기본 전제로 깔고 하는 것이니.


사람들을 내 편과 네 편으로 가르고 네 편은 내 편이 될 수 없다고 하면 끊임없는 갈등만이 일어날 뿐이다. 물론 당연히 내 편과 네 편이 있다. 그것마저 부정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내 편과 네 편 사이에 공통으로 할 수 있는, 해야만 하는 것들이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둘 다를 포함하는 더 큰 가치가 있음도 잊어서는 안 되고. 그래서 더 큰 가치를 실현하는데 나와 너가 다른 방법을 지니고 있다면 토론을 통해서 함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냥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하여 이런 비진실이 지금 우리를 감싸고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그것에 휩쓸리지 않는 선택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자신이 어떤 상황에 처했을 때 이것이 내가 극복할 수 있는 문제인가, 내 감정에 치우쳐 판단하고 있지 않은가. 나와 함께할 사람을 내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먼저 한다면 지금과 같은 극단적인 갈등 상황 속으로 빠져들지는 않을 것이다.


그밖에도 다양한 극복 방법이 나와 있지만, 관점의 전환이 먼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세상은 적과 동지로 확연히 구분되지 않는다. 또한 무균실에서만 지낼 수 없듯이 편안함만을 추구해서도 안 된다. 그러니 이 점을 명심하자.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세 가지 비진실이 있음을, 어쩌면 그 비진실 중 하나에 나도 빠져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하는 습관을 지니자. 그러면 적어도 극단주의에 빠지지는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