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 강연문 수록,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문지 에크리
한강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말부터 이런 생각을 했다. 우리나라 최대의 축제가 될 수 있었는데, 노벨문학상 주간이라고 해서, 한 달을, 아니 그 이상을 문학 축제의 장으로 만들 수 있었는데...


찬물을 확 끼얹어 버렸다. 그 누가. 이름을 대기도 싫을 정도인 사람이. 역시 속 좁은 사람은 자기보다 남이 잘 되는 것은 보지 못하나 보다. 의도는 아니었겠지만, 결과는 그렇게 되었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세상이 축제 기간이어야 할 기간을 비상 계엄이라는 냉동의 시간으로 바꾸어버린 사람. 그러나 시민들은 냉동의 시간에 얼지 않았다. 빛으로, 빛과 빛을 연결하는 실로, 그렇게 서로의 온기를 더해 얼음보다 더한 비상 계엄의 시기를 견뎌냈다. 견뎌낸 것이 아니라 물리쳤다.


물론 한강 작가는 노벨문학상 축하 주간이니 뭐니 그런 것에 신경을 쓰지 않았을 테지만... 한강 작가로 인해 모처럼 우리나라에서 문학을 기리고, 문학으로 인해 축제가 벌어지는 그런 장이 펼쳐지길 기대했었는데...


이미 지난 시간은 어쩔 수 없고. 마침 한강 작가의 글이 책으로 엮어 나왔다. '빛과 실'이다. 아하! 우리에게 다가왔던 저 겨울을 이겨낸 사람들의 마음을 어쩜 이렇게 잘 표현한 제목을 달 수 있을까.


제목에서 감탄하고, 노벨문학상 수상 연설문을 읽으면서 다시 감탄하고, 시를 읽으면서 한번에 읽을 수 없단 생각을 하고, 정원 일기를 읽으면서 식물, 빛, 거울에 마음을 빼앗기고... 천천히 아주 천천히 곱씹으면서 내 몸에서, 마음에서 소화시키면서 읽어야지, 그냥 북향 정원에 햇빛을 주기 위해 거울을 설치하고 수시로 바꿔주듯이, 내 곁에 이 책을 두고 있어야지. 


정원 일기를 읽으면서 식물과 빛을 생각하고, 그 빛이 사람과 식물을 연결지어주는 실의 역할을 하고 있음도 깨닫고.


그렇게 이 책은 내 마음에 빛을 주고, 또 다른 사람들과 연결해주는 실 역할도 해주고. 빛이 실이 되어 서로 연결되는 순간, 빛에는 볕이라는 온기가 담겨 있게 된다. 서로를 보듬어주는 따스함.


여전히 어려운 시대다. 봄은 왔지만 아직 봄이라고 할 수 없는 그런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한강 작가가 식물을 위하여 거울의 각도를 수시로 바꿔주듯이, 우리 역시 우리가 바라는 사회를 위해 무언가를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아직 오지 않은 우리 사회의 봄을 위해 우리는 빛을 그리로 보내야 한다. 우리 자신이 각자 서야 할 자리에 서서 그렇게... 그런 빛들이 모여 마치 실처럼 연결이 되면, 빛은 밝음뿐만이 아니라 따스함까지 지니게 되니, 그때서야 비로소 봄이 오게 될 것이다.


우리 마음에 빛을, 또 우리 마음을 빛으로 다른 사람의 마음으로, 그리고 그 마음들을 실로 연결해서 따스한 우리 사회가 되도록...


책장을 덮은 순간 아쉬움, 아니 다시 읽어야겠다는 마음. 


책의 마지막 글 제목이 '더 살아낸 뒤'인데, 한강 작가는 글쓰기로 '인생을 꽉 껴안아보았'고, '아주 깊게, 진하게 / 사람들을 만났'다고 '충분히 살아냈'(166쪽)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나는 글쓰기가 아닌 글읽기로 더 살아낸 뒤 한강 작가와 같은 말을 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고.


마음에 빛이 들어오는 듯한 느낌, 실로 누군가와 또는 무엇인가와 연결되는 듯한 느낌, 그런 느낌을 주는 책. 글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