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로의 계절에 잠시 ㅣ 큐큐퀴어단편선 6
천선란 외 지음 / 큐큐 / 2023년 10월
평점 :
여섯 편의 소설이 실려 있다. [큐큐퀴어단편선6]이다. 앞서 발간된 1-5를 읽어보지 않고 이 소설집부터 읽게 된 이유는 천선란의 작품을 전부 읽겠단 욕심이 있어서였다.
빠져드는 작가가 있다는 사실을 기뻐해야 하고, 그것에 행복해 하기도 하는데, 지금은 꼭 읽어야겠다고 마음 먹은 작가가 꽤 있다. 그만큼 소설 세계에 빠져 있다는 뜻이기도 하고. 수록된 작가와 소설은 다음과 같다.
천선란 '검은 혀', 이반지하 '잉글리시 켐퍼', 오호두 '모노의 봄',
서장원 '흰 밤', 정보라 '지향', 박선우 '사랑의 방학'
소설을 기획한 의도에 맞게 '다름'을 다루고 있다. 퀴어란 말 자체가 다름이라는 말인데, 이 책의 제목이 된 '서로의 계절에 잠시'라는 제목의 소설은 없다. 그런데 서로의 계절이라는 말에는 이미 '다름'이 들어 있다. 그리고 '잠시'라는 말에는 내 것으로 만든다는, 영원히 소유한다는 그러한 개념이 들어있지 않다.
다름은 하나가 아니고, 영원이 아니며 그러므로 지속이 아니라 순간이고 변화다. 순간이고 변화면 그것이 어떻게 유지될까 하는데, 아니다. 바로 만남의 순간에 충실한 것이다. 그 만남의 순간에 상대의 과거-현재-미래를 생각하지 않는다. 나와 만나고 있는 존재, 그 존재를 그대로 인정하는 것이다.
혀가 검든 아니든 무슨 상관인가, 다양한 인종, 민족이라는 이유로 차별해야 하는 이유가 있는가, 나와 상태가 다르다고 내가 잘하는 것을 못한다고 내가 무시할 수 있는 존재가 있는가, 왜 다름을 그냥 인정해주지 않는가.
마지막에 실린 '사랑의 방학'이라는 말이 마음에 와 닿는다. 학교 다닐 때 만약 방학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공부하는데 최선을 다해도 방학이 없으면 그 관계가 지속이 될까. 그리고 방학이 끝나고 나면 방학 전과 후가 같은 존재일까. 학생은 같은 학생이라고 하겠지만 분명 방학이라는 기점을 통해 달라진 학생이 된다.
관계도 마찬가지다. 똑같은 존재는 없다. 세상에는 다 다른 존재들이 있다. 이들 존재들이 관계맺는 순간, 그것이 바로 서로의 계절에 잠시 머무르는 순간이다. 그렇게 관계를 맺는데, 그런 관계가 지속되더라도 같음을 유지하면서 지속되지 않는다.
관계의 지속이 변하지 않음의 영원함이 아니다. 관계의 지속은 오히려 다름의, 변화의, 순간 순간의 모습을 서로가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 점을 '사랑의 방학'이라는 소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소설들도 마찬가지다. 그러니 '퀴어단편선'이라는 이름을 지니게 된 것이다. 퀴어라는 말이 지닌 의미가 사람에 따라 다르게 변했으니까. 그렇게 퀴어란 변하지 않음이 아니라 변함이니까. 순간순간 변하는 존재들, 그러한 변화를 통해서 맺어가는 관계는 내 틀 안으로 상대를 끌어들이려 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자신도 상대의 틀로 완전히 들어가서는 안 된다.
경계에서 서로 맞물리는 삶. 이 경계는 수축과 팽창을 지속하면서 새로운 선을 만들어간다. 그것이 바로 이 소설집이 말하는 것이리라.
하여 이 소설집에 실린 첫소설 '검은 혀'를 쓴 천선란의 작가 노트에서 한 구절을 빌린다.
'우리는 서로의 세계에 잠시 머물렀다 가는 낯선 이방인이다. ...타인의 세계를 너무 쉽게 이해하려 들지만 않으면 된다.' (37쪽)
이것이 바로 '서로의 계절에 잠시'라는 말이리라. 타인의 세계만이 아니다. 자신도 타인과 마찬가지다. 자신은 이렇다고 규정짓고, 변하지 않는 무엇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자신도 자신에게 외계인이다. 그러니 자신을 다 이해했다고, 나는 이런 존재라고 쉽게 말해서는 안 된다.
나 역시 내가 모르는 '나'가 많이 있으며, 그러한 '나'는 순간적으로 변화고 방금 전의 '나'와는 '다른 나'가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점을 잘 보여주는 소설이 박새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모노의 봄'이다. 멀리 멀리 숲의 끝까지 가서 모노는 기존과는 다른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이렇게 이 소설집은 다른 존재들과 어울리기 위해 필요한 전제 조건이 바로 자신을 하나로, 변하지 않는 존재로 규정짓지 않는 것이라는 점을 생각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