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멜라닌 - 제29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하승민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7월
평점 :
"너희들은 자신이 뭘 가졌는지 몰라." (264쪽)
소설 속 인물인 재일이 다른 아이들에게 한 말이다. 이 말이 나올 때까지, 자신이 뭘 가졌는지 모르는 아이들은 어떻게 행동했을까? 그냥 자신들은 농담으로 또는 아무런 생각 없이, 또는 남을 위한다는 마음으로 말을 하고 행동을 했겠지.
자신들의 말이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어떤 상처를 주는지 생각도 하지 못한 채. 그렇게 자신이 가진 것을 알 필요가 없는 사람은 자신을 살필 기회를 갖지 않는다.
하지만 없는 사람은? 그들은 끊임없이 자신을 의식할 수밖에 없다. 자신만이 아니라 주변을 의식한다. 자신이 뭘 가졌는지 모르는 사람이 아무렇지도 않게 한 말이나 행동이 이런 사람에게는 상처로 다가오게 된다.
재일이도 마찬가지다. 끊임없이 자신을 의식할 수밖에 없다. 그것도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게 불행한 일들이 계속해서 일어나니.. 어디를 가도 자신은 눈에 띌 수밖에 없으니...
파란색 피부를 갖고 태어난 아이. 그 자체로도 놀림감이 되기 쉽다. 어린 시절에 철 모르는 아이들은 분명 스머프니 슈렉이니 하면서 놀렸으리라. 이런 놀림이 자라면서 차별로 변해간다.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도 없고.
같은 행동을 해도 다르게 해석되기도 하면서 이 아이에 대한 편견은 점점 더 쌓여갈 수밖에 없다. 다른 사람들의 편견과 차별이 쌓여갈수록 이 아이에게는 자신감, 자존감은 점점 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주변의 편견과 자존감은 반비례한다. 그러니 소설의 첫머리에 나오는 이 말이 깊은 울림을 줄 수밖에 없다.
'내 피부는 파랗고 엄마는 베트남 사람이다. 어느 쪽이 더 문제인지는 모르겠다.' (7쪽)
우선 엄마가 베트남 사람이라는 것이 왜 문제인가를 살피면, 베트남에 살고 있는 베트남 국적의 사람이면 상관이 없다. 그런데 이 말이 차별적인 말이 될 때 그것은 베트남 사람이 이주해서 다른 나라로 갔을 때다. 그것도 같은 동남아시아 나라가 아닌, 경제적으로 우위에 있는 나라에 갔을 때.
가령 한국같은 나라에 왔을 때 베트남 사람이라는 말은 차별을 받을 요소로 작동한다. 그러면 안 되는데.. 국적을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바꿔도 베트남 사람이라는 것은 바뀌기 않는다. 그런 인식이 죽 이어진다.
그런데 엄마가 베트남 사람인데 피부색이 파랗다. 과연 남들의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한국에서 살기 힘들다고 아빠는 미국으로 이민을 결심한다. 이민을 가면, 다민족 다인종 (요즘은 인종이라는 말을 잘 쓰지 않는다고 하지만) 국가인 미국이 한국보다는 나을 것이라는 기대를 안고.
가족이 다 같이 가기로 했지만 여기서도 차별이 작동한다. 엄마의 의견은 중요하지 않다. 엄마는 처음에 자리잡은 한국에 있고 싶어한다. 아니면 자신의 엄마가 있는 베트남에 사는 것도. 그러나 아빠는 엄마의 의견은 고려하지 않는다. 결국 엄마와 동생은 베트남으로 가고, 아빠와만 미국에 온 재일.
이곳에서도 파란 피부는 차별의 요소로 작동한다. 거기에 아시아 사람이라는 것이 더해지고... 무엇에 무엇이 더해지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냥 자신이 지니고 있는 것으로 차별을 받게 된다. 어린 시절부터 이런 일을 겪으면 그것을 이겨내기 쉽지 않다.
무력하게 지내는 재일이에게 힘이 되어주는 친구들이 생긴다. 같은 피부색을 지닌 클로이, 차별을 반대하는 셸마와 함께 잘 지내지만, 곧 어려운 일이 닥치고, 이민온 재일이 가족에게도 힘든 일이 생긴다.
우여곡절을 보낸 재일이가 결국은 베트남으로 가면서 소설은 끝나게 되는데...
이 소설에 나온 이런 편견, 차별이 지금 사라졌을까? 아니다. 여전히 이러한 차별은 공고하게 남아 있다. 재일이가 앞으로도 계속 몸부림치면서 이런 차별을 겪고, 차별을 이겨내려는 노력을 할 수밖에 없는 세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소설 속 이 대사, 명심해야 한다.
'사실 차별은 곳곳에 놓인 지뢰밭 같은 거야. 딱 한 번의 폭발에도 우린 불구가 된다고.'(185쪽)
그렇다. 이렇게 지뢰를 설치한 사람들은 자신들이 지뢰를 놓았다는 사실도 모른다. 마치 재일이가 너희들은 자신이 뭘 가졌는지 몰라라고 한 것처럼.
읽으면서 답답하기도 했다. 그 답답함은 재일이의 무력함과 연결이 되기도 했는데, 재일이는 무력할 수밖에 없다. 무슨 재일이가 슈렉같은 괴력을 발휘할 수 있겠는가.
이민온 아이아계 피부가 파란 힘없는 아이일 뿐인데... 그런 재일이게 그나마 숨통을 틔워주는 친구들이 있어서 그가 고꾸라지지 않았을 뿐. 그렇게 그나마 버티었던 재일이가 이제는 다른 사람들의 버팀목이 되어주는 사람으로 성장했음을 알게 되는데...
그 성장과정이 결코 만만치 않았겠지만... 지금도 여전히 재일이와 같이 차별받는 사람들이 있음을, 그래서 그들이 넘어져 일어나지 못하는 일이 생기지 않게 손을 내밀어줄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