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하이쿠'가 있다면 우리나라엔 시조가 있다. 이렇게 말할 수 있을까?


  시조와 하이쿠의 비슷한 점이나 다른 점에 대해서 세세하게 논할 필요는 없고, 둘은 짧은 형식에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한다는 점만 언급하자.


  또 둘 다 다른 형식의 시에 밀려났다는 (이를 부정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체로 고전시가로 불리고, 이를 계승한 사람들을 전통시를 쓴다고 하니, 현대시에 분명 한 장르로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느낌을 준다.


  하지만 짧은 시행에 감정과 생각을 담으려면 압축이 필요하다. 언어를 고르고 골라, 그 형식에 맞춰 표현을 해야 한다. 그러니 짧다고 쉬울 수는 없다.


또한 시조는 여러 형식을 시험했다. 시조라고 알고 읽지 않으면 이 시가 시조인가 하는 시들이 꽤 있다. 가령 시 시조집에 실린 시 한 편을 보자.


                     착시 

                             -교단 일기 12


                    신호등 앞에 서서

                    현수막을 즐기다가

                    반가워라 눈 멈춘 곳

                    내 이름이 선명하다


                    되보다

                    쓰게 웃는다

 

                반갑 등록

 

반금현, 백인종 아이들, 등. 2024년. 25쪽. 


이 시조만 보면 시조라고 인식하기 힘들다. 그냥 짧은 현대시이겠거니 한다. 우리가 길을 가다 혹은 글을 읽다 이런 글자를 잘못 읽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다시 보면서 헛웃음을 내는 경우가 많았는데, 여기에 너무도 비싼 대학 등록금을 비판하는 마음까지 더해, 이런 반값 대학 등록금이 실현되었으면 하는 마음을 표현한 시조다.


보통 3줄로 생각하는 시조를 행과 연을 구분해서 표현하고 있다. 이는 전통시라고 하는 시조를 현대에 맞게 계승, 발전시키고 있는 모습이라고 볼 수 있는데... 시조라는 형식을 고수하는 이유가 어쩌면 짧은 형식 속에 내용을 넣음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많은 생각을 덧붙이게 하려는데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한다.


제목이 된 시조를 보자. 씁쓸한 우리나라 아이들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백인종 아이들 

                                             - 교단 일기 66


                     어릴 적 친구들은 황인종이 분명했어

                     요즈음 아이들은 백인종이 아닌가 몰라

                     흰 얼굴 서로 보면서 하얀 나라 만들겠지


반금현, 백인종 아이들, 등. 2024년. 79쪽


황인종, 백인종이라고 요즘은 구분을 잘 하지 않지만, 그래서 통상적인 구분으로 하는 이 표현에 의하면 우리나라 아이들이 '백인종이 아닌가 몰라'라고 하는 표현에는 밖에서 뛰어놀지 못하고, 해와 더불어, 자연과 더불어 놀면서 피부가 햇볕에 그슬린 우리 아이들의 피부가 이제는 밖에서 거의 놀지 못하고 있어 하얗게 변해 버린 현실의 모습.


그런 모습이 과연 좋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시조인데... 짧은 형식에 지금 우리 아이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 이렇게 이 시조집에서는 지금 우리 시대의 풍경을 만나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