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듄 신장판 2 - 듄의 메시아
프랭크 허버트 지음, 김승욱 옮김 / 황금가지 / 2021년 1월
평점 :
2권이다. 폴이 황제가 되었다. 그를 숭배하는 종교가 생겨났다. 종교와 정치가 결합되어 다른 행성들을 정복하기 시작한다.
선교라는 이름으로 자행되었던 제국주의의 침략의 역사를 듄에서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절대 권력이 필요하다. 절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폭력이 필요하다.
폴이 원한 세상이 이것이었을까? 프레멘들과 함께 하코넨과 황제를 물리칠 때 폴이 보았던 미래가 이것이었을까? 소설에서는 지하드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폴은 이런 지하드를 멈추고 싶어한다.
그러나 우주가 제 뜻대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절대 권력을 숭배하는 사람들은, 종교라는 수레바퀴에 타고 더 빨리, 더 멀리 가려고 한다. 그렇게 지하드는 멈출 줄을 모른다.
반대로 절대 권력에 도전하는 세력이 나타난다. 그 권력은 너무도 달콤하기 때문이다. 자신들이 차지하고 싶어진다. 따라서 2권은 절대 권력자가 된 폴과 그를 떠받치는 종교적 힘을 상징하는 누이 동생 알리야가 한 축에 있고, 그에게서 권력을 탈취하려는 세력이 한 축에 있다.
한 권력에서 다른 권력으로 넘어가기만 하면 그것은 평화가 아니다. 또다른 전쟁을 유발할 뿐이다. 자신의 권력을 내놓을 수 있는 폴이지만, 그렇게 되었을 때는 전쟁이라는 우주의 폭력이 무한 반복될 수밖에 없음을 폴은 안다.
그는 이러한 폭력을 멈출 수 있는 방법을 찾고, 그것을 행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그것이 가능한가? 폴은 미래를 통해 자신의 죽음을 본다. 그 죽음을 통해 우주의 평화를 이끌기를 원하지만, 예지를 통해 본 미래가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다.
미래로 가는 길에는 수많은 불확정성들이 존재하며, 한 사람 한 사람의 말과 행동이 우주의 미래를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바꿀 수 있는 미래를 현재가 선택할 수는 없다. 폴 역시 마찬가지다. 자신의 죽음과 사랑하는 챠니의 죽음을 볼 수 있었음에도 그는 그것을 회피하지 않는다. 또하 챠니를 되돌릴 수 있는 기술을 지닌 자들과 거래도 하지 않는다.
죽음은 죽음으로 끝나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폴은 사랑하는 챠니와 함께 사라질 뿐이다. 직접적으로 폴의 죽음이 나와 있지는 않지만, 예견할 수는 있다. 눈 먼 자들은 사막으로 보내지는 프레멘들의 관습에 따라 폴도 사막으로 나아가니까.
하지만 사랑은, 현재에 충실한 사랑은 남는다. 그러한 사랑에 예지력은 필요없다. 그냥 사랑으로 존재하기만 된다. 폴과 챠니의 사랑이 바로 그렇다.
2권은 그래서 종교와 결합된 정치의 절대 권력을 보여주고 있다. 개인이 거부하려 해도 주위에서 그러한 권력을 만들어내고 이용하는 모습도.
아주 많은 요소들이 나오고, 하코넨의 억압으로부터 벗어난 사람들이 또다른 억압을 낳는 현실도 소설은 잘 보여주고 있다.
악마와 싸우는 자는 자신이 악마가 되지 않으려고 해야 한다는, 니체의 말처럼, 절대 권력을 타도하는 사람이 절대 권력이 되는 현실, 그것에서 벗어나는 것이 무척이나 힘든 일임을 소설은 잘 보여주고 있다.
60년대에 쓰인 소설임에도, 우주에 있는 아라키스라는 행성을 중심으로 사건이 펼쳐짐에도 지구에서 우리가 겪는 권력들의 모습, 그리고 그러한 권력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절대 권력에 취하지 않으려면 얼마나 힘든 노력을 해야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폴의 최후가 마음 아프게 다가오지만, 스스로 선택한 길을 가는 폴의 모습이 쓸쓸하고 아름답게 다가온다. 이형기 시인의 낙화 한 구절을 떠올리는 장면이다.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하는.
이제 폴의 시대는 끝났다. 알리아의 시대가 올 것인지, 챠니가 나은 두 아이의 시대가 올 것인지, 또 그런 시대는 어떤 모습일지 3권으로 넘어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