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시인이다. 하긴 우리나라에 시인이 적지 않으니, 그 많은 시인을 다 알 수는 없다. 그러니 부지런히 시들을 찾아 읽을밖에.


  읽다보면 좋은 시, 마음에 들어오는 시를 발견하게 되고, 그 시인을 좋아하게 되고, 자연스레 시집을 사서 읽게 되겠지.

  

  시인을 몰랐다고 자책할 필요가 없음을 이런 식으로 합리화한다. 


  제목이 내 눈길을 사로잡았다. 분단시 전집이라니... 1980년대 후반 통일의 열기가 뜨거웠을 때, 또 남북 정상회담이 이루어져 곧 통일이 될 것 같은 희망에 들떠있을 때, 또는 남북이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단일팀을 만들어 국제경기에 참여했을 때, 그럴 때 이 시집을 만났으면 아마도 '분단시'라는 말 대신에 '통일시'라는 말을 써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을지도 모른다.


분단은 통일과 떼려야 뗄 수 없으니까. 그런 상황이었다면 이 시집이 좀더 많은 사람에게 읽혔겠지. 


하긴 2003년에 출간된 시집이니, 어느 정도 남북이 긴장을 완화하고, 통일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 때였고, 시인이 70이 넘은 나이였으니, (1933년 출생, 2010년 사망) 일관된 주제로 쓴 시집을 발간한 것은 시의적절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집은 그동안 시인이 발표해온 시들 중에 분단을 주제로 한 시들을 모아놓았다. 그것도 가나다 순으로 묶여놓아서 시를 찾기가 쉽다.


어느 시를 보아도 분단에 대한 생각, 그것은 바로 통일에 대한 염원으로 이어지니, 이 시집 전체가 통일을 바라는 시인의 마음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아무 시나 골라도 되지만, 신작 시라고 해서, 그동안 출간된 시집에 없던 시 중에 '소망'이라는 시가 있다.


        소망


통일, 새로 시작하는 것 모두 버리는 것. 


이만주, 이만주 분단시 전집. 들녘. 2003년. 368쪽.


그렇다. 이미 분단이 된 지 80년이 되어 간다. 십 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했으니, 강산이 여덟 번 바뀌는 세월이 흘렀다. 분단이 고착화되고, 지금은 서로가 서로를 비방하는 상태로 변해버렸으니, 남과 북의 평화가 위태위태한 상황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대 시인의 이 '소망'이라는 시 생각해야 한다. 통일은 새로 시작하는 것이다. 분단에서 새로 시작해야 한다. 그렇지만 새로 시작한다는 말은 바로 지금까지 지니고 있던 것을 버려야 한다는 것과 통한다.


지금까지 쥐고 있던 것을 계속 쥐고 새로 출발을 하려고 하면 제대로 된 출발이 될 수 없다. 출발을 할 때는, 특히 새로운 출발을 할 때는 과거와 결별해야 한다. 


그래야 새로운 시대로 나아갈 수가 있다. 과연 우리는 버릴 수 있는가? 버리지 못하기에, 그것을 더욱 꽉 쥐려고 하기에 갈등과 긴장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한때 성큼 앞으로 다가왔던 통일이 한참 뒤로 물러나버린 상황이 지금 상황이 아닌가 하는데... 이럴 때 이만주 시인의 이 시집을 읽어보면 좋겠단 생각을 한다.


여기에 이 시집의 뒤에 실린 김규동 시인의 글이 마음에 와닿는다. 분단은 끊는 일, 절단하는 일이라는 이제는 고인이 된 시인의 말이 큰 울림을 준다. 그 글을 읽어보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