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잡지가 나오는 이 시대. 꾸준히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잡지는 이유가 있다. 사람들의 취향에 맞든지, 사람들의 취향을 선도하든지. 그렇지 않은 잡지는 나름대로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다른 잡지와는 차별되는 자신들만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가령 몇 해 쉬다가 다시 발간한 [녹색평론] 같은 경우는 생태, 환경을 중심으로 글을 구성한다. 우리 지구가 위기에 처해 있다는 생각에, 이대로 가면 안 된다는 생각으로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을 바꾸려고 한다.


  그렇다면 [빅이슈]는 어떤 차별성을 지니고 있을까? 한달에 두 번 나오는 잡지라서, 빠르게 변하는 시대에 걸맞는 속도를 지녀야 한다. 그러나 그런 속도를 따라가려다 보면 자신만의 색깔을 잃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식상한 내용을 담아서도 안 된다. 왜냐하면 잡지는 팔려야 하기 때문이다. 팔려야 한다는 말이 너무 자본을 강조한 말이라고 한다면 (사실 빅이슈는 팔려야 한다. 그래야 빅이슈 판매원들이 자립할 수 있는 돈을 모을 수 있으니까) 좀 그렇다면, 읽혀야 한다고 하자.


이 빅이슈를 꼬박꼬박 읽는 사람들도 있으니, 이들의 취향에 맞으면서도 취향을 선도해야 한다. 그런 숙명을 지닌 잡지다. 


편집자의 말에 '비밀 클럽'이라는 말이 있다. 뜻이 맞는 사람들끼리 모여 활동하는 모임이라고 하면 되겠다. 비밀 클럽은 소수일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빅이슈를 비밀 클럽이라고 하기는 힘들지만, 편집자는 이 빅이슈가 비밀 클럽이 아니고,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되는 잡지였으면 좋겠다고 한다.


그렇다. 많이 읽혀야 한다. 새로운 경향을 알 수도 있고, 요즘 사람들이 함께 하는 문화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소외된 이웃들의 이야기도 만날 수 있으니... 다양한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 잡지다. 


책도 읽고 나름대로 기부도 되는 그런 잡지. 이번 호에는 '리뷰'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 리뷰를 리뷰하다인데, 자기가 직접 경험하기 힘든 사람들은 리뷰를 참조할 때가 많다.


조금 유명해진 곳들은 대부분 리뷰 덕을 많이 본다. 온갖 SNS를 통해서 자신이 간 곳이나 자신이 읽은 것, 자신이 한 일들을 올리면 그것을 보는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따라하고 싶은 욕구를 실행에 옮기기도 한다.


그러한 리뷰에 대해서, 리뷰의 경향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이번 호에서 다뤄주고 있다. 여기에 리뷰를 주제로 한 드라마까지 소개하고 있으니, 리뷰가 요즘 시대에 얼마나 큰 영향력을 지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빅이슈]를 읽는 시간은 즐겁다. 두 주에 한번 내가 모르던 분야에 대해서 알게 되는 시간이기도 하고.


소수가 읽는 [빅이슈]가 아닌 다수가 읽는 [빅이슈]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은 나 역시 편집자와 같다.


편집자의 말처럼 길거리에서도 많이 보이는 [빅이슈]가 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