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없는 나의 기억들
리베카 솔닛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으면서 빨리 읽고 싶지 않은 마음이 든 책이다. 이런 책은 드문데, 구절구절이 마음에 와 닿고, 그 구절을 좀더 마음 속에서 음미하고 싶기 때문이다. 도처에 인용하고픈 문장들이 있지만, 굳이 인용을 하지 않아도 된다.


솔닛의 말을 인용하기보다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자신의 삶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더 이 책의 내용에 맞는단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마지막 부분은 꼭 인용하고 싶다. 이것들은 지금 우리에게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목소리를 가진다는 것은 그저 발성할 수 있다는 동물적 능력만을 뜻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가 자신이 속한 사회에, 자신과 타인들의 관계에, 자기 삶에 영향을 미치는 대화들에 온전히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그렇게 목소리를 가진다는 것에서 핵심적으로 중요한 요소가 세가지 있다. 가청성, 신뢰성, 영향력이다.

가청성이란, 그의 말이 청취된다는 것을 뜻한다. ... 신뢰성이란, 그가 말할 수 있는 영역에 들어갔을 때 사람들이 그를 기꺼이 믿어준다는 것을 뜻한다.  ...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된다는 것은 중요한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 어떤 사람이 중요한 존재라면, 그에게는 권리가 있다. 그의 말은 그 권리를 위해서 일한다.' (286~288쪽)


그렇다면 나에게 솔닛의 책은 가청성, 신뢰성, 영향력을 모두 갖춘 말들로 이루어져 있다. 솔닛이란 이름 자체에 신뢰감을 느끼고, 책을 찾아 읽으니 말이다. 읽으면서 내 삶을 돌아보고, 내가 놓치고 있던 부분, 또는 보지 못하고 있던 부분을 찾게 되니.


솔닛은 이 책의 끝부분에서 손금을 봐줬던 사람이 한 말을 인용하고 있다. 


"우여곡절이 있었겠지만, 당신은 결국 운명대로 살고 있네요." (296쪽)


이 책은 바로 솔닛이 겪은 이 우여곡절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자신이 목소리를 지니고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말해주고 있다.


자신 역시 목소리를 지니지 않은 세상에 없는 존재로 남을 수도 있었지만, 보이지 않고 말해지지 않는 자신을 직면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까지의 과정. 목소리를 내기 위해서 책을 발간하고, 또 행동으로 나서기도 하고.


그동안 읽었던 솔닛의 책이 어떤 과정 속에서 나오게 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되고, 그 책들의 내용을 다시 반추하면서, 아 이렇게 솔닛이 우여곡절을 겪고서 마침내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되었구나 알게 해주는 책이다.


운명대로 산다는 말은 곧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삶을 산다는 말이다.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문제에 맞닥뜨려서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모습, 혼자만이 아니라 함께 나아가는 모습, 그리고 자신의 삶에서 세상에 없던 자신을 찾아내고 세상에 있는 존재로 드러내는 과정을 보여주는 책. 그것이 바로 이 책이다.


손금을 봐주는 사람의 말을 빌려 한 말은 곧 솔닛의 삶을 정리하는 말이 된다. 우여곡절을 겪으며 단단해진 솔닛.


또한 보이지 않는 또는 쓸모없다고 여겨지는 삶들이 결코 쓸모없지 않음을 이야기하는 솔닛. 그런 솔닛의 문장을 읽으면서 정호승의 시 '산산조각'이 생각나기도 했다. 온전한 불상도 소중하지만 깨어진 불상도 그 자체로 소중함을. 그것이 바로 우리 삶의 우여곡절이고, 그런 우여곡절을 겪지만 우리 역시 운명대로 살아가야 함을 생각하게 하는.


또 솔닛의 삶을 보면서 자기 목소리를 내기까지의 그 과정에서 웹툰 '화산귀환'의 장면이 생각났다. 상처를 통해서 더 강해진다는 119화의 장면. 


(화산귀환 - 119화 : 네이버 웹툰 (naver.com),  하지만 네이버에 연재되고 있는 이 웹툰과 솔닛의 말은 차이가 있다. 물론 웹툰에서 주인공인 청명은 자신의 경험을 통해 깨달았지만, 이는 주인공인 청명이 바로 이야기를 하는 주체라는 말이 된다, 아직 다른 인물들은 청명의 이야기를 따라갈 뿐이다. 그들은 솔닛처럼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이제 그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갈 때 비로소 그 웹툰은 청명의 이야기가 아닌, 그들의 이야기가 될 테다. 우리 역시 솔닛의 말을 솔닛의 말로만 따라가면 우리의 말, 우리의 목소리를 낼 수가 없다. 우리도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고,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솔닛의 책을 제대로 읽었다고 할 수 있다.)


솔닛은 글에서 자신의 운명은 '어떤 이야기를 깨뜨리는 사람이자 어떤 이야기를 만드는 사람이 되는 것'(302쪽)이라고 했다.


이야기를 깨뜨리기 위해서도 많은 고통을 겪었을 것이고, 이야기를 만드는 과정에서도 더 많은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다. 그러나 솔닛은 그 운명을 거부하지 않았다. 받아들였다. 바로 자신의 운명, 자신이 해야할 일을 직면했다. 


운명에 직면해서 회피하지 않고 꾸준히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솔닛은 그동안 보이지 않았던 것들을 찾아내어 밖으로 드러낸다. 이것은 기존 이야기를 깨뜨리고, 새로운 이야기를 창조하는 과정이다. 그 운명대로 살고 있는 솔닛이라고 할 수 있고. 그렇다면 우리는? 나는?


그 과정, 이 책에 잘 나와 있으니, 천천히 음미하면서 읽어보자. 읽으면 읽을수록 솔닛의 새로운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