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을 보고, 안 살 수가 없는 시집이었다. 전태일. 잊혀지지 않는 이름.


  이런 전태일을 기리는 시집이기도 하겠지만, 당신이, 우리 모두가 전태일이라고 하는 시집이라니, 어찌 안 사겠는가.


  읽으면서 숱한 전태일들을 만났다. 예전에 알던 이름들을 시집에서 발견하고는 과연 그 시대에서 얼마나 나아진 세상으로 왔는가 하는 생각도 하고.


  1970년 11월 13일. 전태일 열사가 분신한 날. 시인은 자신의 아내가 이날 태어났다고 했다. 역시 노동자로, 또다른 전태일로 지내게 되는 자신의 아내가 태어난 날.


그런데 전태일의 분신으로부터 지금 노동자들의 현실은 어떤가? 당시에는 없던 비정규직이라는 말이 생겨서 노동자끼리도 계급이 나뉜 사회가 되지 않았나.


중대재해처벌법이 있기는 하지만 제대로 지켜지는지는 의문이고, 여전히 많은 노동자들이 출근했다가 집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현실.


불의의 사고로, 아니다,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사고로 죽음에 이른 많은 청년노동자들. 노동자들. 이제는 힘도 없어진 노동조합. 그런 노동조합을 여전히 강성 노조라고, 사회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고 하는 사람도 있으니.


시집을 읽으면서 제자리 걸음을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한다. 얼마 전에 청계천에 갔다가 전태일 동상 앞에 선 적이 있다.


전태일이 원하는 세상이 왔어야 하는데, 그렇게 되었어야 하는데, 또다른 전태일들이 나오지 말아야 하는데, 우리는 여전히 수많은 전태일들이 나오는 세상에 살고 있으니.



전태일 동상 앞에 놓여진 작은 꽃다발. 그렇게 우리는 전태일을 잊지 않고 있지만, 진정 전태일을 잊을 수 있는 사회가 좋은 사회가 아닐까.


그가 원하는 세상을 만들어, 그가 바라던 노동자들이 법대로, 사람답게 대우받으며 사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좋은 세상 아닌가. 그것이 바로 전태일들을 만들지 않는, 전태일을 잊는 방법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누군가가 전태일 동상 앞에서 자신을 선전하는 일은 더이상 일어나지 않는 그런 세상이.


표성배 시집 [당신이 전태일입니다]를 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했는데... 이 시집에 나온 한 시... 아, 정말, 이렇게, 우리가, 또, 전태일들을 만들어내고 있지 않은가, 하는, 그런, 생각을 하게 하는 시.


젠장, 전태일은 여전히 우리 곁에 있다. 아니, 우리가 전태일일 수밖에 없다. 이런 시가 여전히 쓰이고 있으니... 이런 시를 쓰게 하는 세상이니. 그가 과연 전태일 동상 앞에 설 자격이 있을까? 


전태일은 살아 있다


그가 대통령이 되었다

청계천 전태일 동상 앞에서

해고를 자유롭게 하는 것을 반대한다며

묵념하고 기념사진을 찍으며

정작 그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120시간 노동이라며

주 52시간제 폐지를 생각했을까

손발 노동은 아프리카에서나 하는 것이라며

4백만 손발 노동자 등에 칼을 꽂으며

음흉한 웃음을 흘렸을까

기업의 일자리 창출을 방해하는

일체 규제를 없애겠다

임금 체계를 연공서열에서 직무급제로 바꾸고

해고가 자유로운 나라를 만들겠다

임금 차이가 없으면 정규직 비정규직이 

큰 의미가 없다며

수많은 젊은 노동자 미래를 짓밟고

150만 원 받고도 일할 사람 많다며

최저임금제 폐지를 생각했을까

하루에 일하다 죽어가는 노동자가

육칠 명이나 되는데도

중대재해처벌법을 폐지하겠다는 생각을 했을까

근로기준법을 지키라며 온몸으로

검은 장벽을 걷어 내고자 했던 전태일 동상 앞에서

노동조합을 미래 약탈 세력이라고

언론노조를 강성 노조의 전위대라 씹으며

죽은 전태일과 살아 잇는 전태일을

갈라치기하며 쾌재를 불렀을까

2022년 3월 10일 새벽

그가 대한민국 대통령이 되었다

대통령이 된 날

이 땅,

살아 있는 전태일은 전의를 불태우고

죽은 수많은 전태일이 일제히 부활했다


표성배, 당신이 전태일입니다. b판시선. 2023년 초판. 18-1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