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마음으로 - 이슬아의 이웃 어른 인터뷰
이슬아 지음 / 헤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스에 나오지 않는 사람들이다. 남의 앞에 서지 않는 사람들이다. 그런데 이런 사람들이 없으면 사회가 돌아가지 않는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 그런 사람들을 우린 어른이라고 부른다.


굳이 남 앞에서 큰소리를 치는 사람을 어른이라고 하지 않는다. 높은 자리에 올라, 소위 출세했다고 하는 사람을, 다른 사람들을 이끄는 사람을, 꼭 자기 일을 드러내는 사람을 어른이라고 하지 않는다.


어느 순간부터 어른이 없는 사회가 되었다고 비판하는 말들이 있었지만, 아니, 어른은 있다. 어른 없는 사회가 어디 있겠는가. 그런 어른들을 우리가 보지 않으려 했을 뿐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이 더 굳어졌다.


인터뷰를 하려는 사람은 무언가를 이룬 사람, 남들과 다른 특별한 일을 한 사람이라고, 대단한 성과를 거둔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쉽고, 또 그런 책들이 많이 나왔지만, 이 책은 그렇지 않다. 주변에 있는 어른을 인터뷰했다.


은유가 쓴 [크게 그린 사람]과 통한다고 할 수 있다. 은유 작가의 인터뷰는 우리 사회를 바꾸어 가려는 사람들을 크게 그려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했다면, 이 이슬아의 인터뷰 책은 우리 사회를 바꾸려는 사람들이 아니라 우리 사회를 지탱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드러내지 않지만 꼭 필요한 일을 하는 사람들. 가령 첫 인터뷰 대상자는 응급실 청소노동자다. 응급실 의사는 조명을 받지만, 높은 보수도 받지만, 그 응급실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 온갖 것들을 치워야 하는 청소노동자들은 주목을 받지 못한다.


그런 사람을 주목했다. 그래, 병원에서 의사는 겉으로 드러나는 성과를 이루고 칭송을 받는 존재지만, 병원에서 정말 필요한 사람들은 청소노동자들이다. 온갖 의료쓰레기들을 처리하지 않으면 병원은 치료하는 공간이 아니라 병에 걸리는 공간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기가 맡은 일을 묵묵히 수행한 청소노동자 이순덕 씨, 그리고 작가 이슬아의 할머니 할아버지인 아파트 청소노동자 이존자, 장병찬 씨는 소중한 존재다. 이런 소중한 존재를 우리에게 소개해준 작가가 고마울 따름이다.


여기에 농사를 짓는 윤인숙 씨. 그렇다. 농사는 바로 사랑이다. 그리고 이 책의 제목이 된 '새 마음으로'도 윤인숙 씨의 말에서 왔다. 늘 새 마음을 먹으면 원망하는 마음이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고.


과거의 마음에 사로잡히지 말고 새 마음으로 살아가라고. 그러면 삶이 더욱 소중하고, 더 잘살 수 있게 된다고. 그것이 바로 농사하는 마음이고,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일 것이다.


여기에 책이 나오기까지 뒤에서 일하는 인쇄소 기장과 회계 일을 맡은 김경연, 김혜옥 씨. 책이 나오기까지 인쇄소를 거친다는 생각은 했지만, 출판사가 더 중요하지 않나 했는데, 이들이 한 말을 보니 한 권의 책을 만나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수고가 있었는지를 알겠다.


가끔 오타가 나온 책이나, 파본, 낙장이 있는 책을 보면 쯧쯧 혀를 차곤 했었는데 책 만드는 일도 사람이 하는 일이라 실수가 있기 마련이고, 그들은 한 권의 책이 나오기까지 최선을 다해서 꼼꼼히 살펴본다는 사실. 그럼에도 간혹 실수가 나오면 그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더 노력한다는 사실. 


그런 인쇄소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어디에서도 들을 수가 없었는데, 이슬아의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니 보이지 않는 곳에서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있음에, 그런 사람들이 바로 우리 사회의 어른임을 생각하게 된다.


마지막 인터뷰이는 수선소에서 일하는 이영애 씨다. 수선하는 일, 다른 사람에게 맞지 않는 옷을 맞게 만들어주는 일.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대단한 일이다. 옷을 다시 태어나게 하는 일이기도 하니까.


한번 입고 버리는 옷이 아니라 계속해서 수선하면서 입는 옷은 환경에도 좋고, 사람에게도 좋다. 그런 일을 하는 수선소 이름이 '미래로'다. 겉으로 드러나는 삶들 속에 그 삶들을 받쳐주고 있는 다른 삶들이 있음을 아는 것, 그것이 바로 미래로 가는 우리 삶일 것이다.


이 책에 실린 사람들은 특별한 사람들이 아니다. 평범한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온 사람들. 그런 어른들이다. 바로 우리 이웃 어른이다. 이런 이웃 어른에게 관심을 가지고 우리에게 그들의 삶을 들려준 작가가 고맙다.


어른이 있음을, 특별하지 않다고 하는 그들의 삶이 실은 특별한 삶이었음을, 그들이 바로 우리가 말하는 어른이었음을 알려주고 있으니까.


우리 사회에 어른이 없다고 개탄하는 사람들. 이 책을 보면 알게 될 것이다. 어른은 밖으로 드러내는 삶을 사는 사람들이 아니라 이렇게 자기 자리에서 자기에게 주어진 삶을 충실히 살아가는 사람임을. 그런 어른이 우리 주변에 너무도 많이 있음을. 우리가 보려고만 하면, 찾으려고만 하면 그런 어른들을 만나게 됨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