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에서 '신동엽의 좋은 언어'라는 말을 생각한다. 언어면 언어지, 좋은 언어는 무엇인가? 그렇다면 나쁜 언어가 있다는 말인데...


얼마 전에 끝난 국회의원 선거에서 너무도 많은 말들이 오갔다. 그런데 그 말들 중에 좋은 언어가 얼마나 되었을까? 오히려 국가의 선량(善良? 選良?)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썼던 언어는 '선량'이라는 말에 어울리지 않았다. 한자어 어느 쪽을 쓰든 이번 총선에서 난무한 말들은 절대로 '선량'이 아니었다.


한 국가의 정치를 좌우하는, 4년을 국민을 위해서 일하겠다고, 자신을 뽑아달라고 하던 사람들이 쓰는 언어가 이렇게 수준이 떨어지다니...


단지 수준만 떨어지면 그러려니 하고 넘어갈 수도 있다. 수준이 떨어지는 정도가 아니라 그들이 쓰는 언어는 나쁜 언어였고, 혐오 발언이 넘쳐났다.


사람이 사람을 혐오하면서 정치를 하면, 그것은 상대를 받아들이고 상대와 함께 더 나은 쪽으로 나아가려는 마음을 버렸다는 말이 된다. 그냥 상대는 배제되어야 할 대상일 뿐이다. 그런 대상과 협치를 할 수 없다.


나쁜 언어들이 넘쳐나는 현장에서, 좋은 언어는 설 자리를 잃었다. 그렇다고 포기하기는 이르다. 아직 22대 국회가 시작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들이 썼던 나쁜 언어, 혐오 발언들을 직시하고, 좋은 언어에 대해서 고민을 할 시간은 있다.


한 달이라는 (지금은 한 달도 채 남지 않았지만) 시간 동안 과거를 반추하면서, 미래를 만들어가려 해야 한다. 과거의 실수로부터 배워야 한다. 그들이 썼던 나쁜 언어들을 좋은 언어로 바꾸어야 한다.


그래야만 사회가 좋아진다. 정치를 한다는 말, 이름을 바로 세우겠다는 말, 그 말은 곧 좋은 언어를 쓰는 사회를 만든다는 말이다. 공자의 정명(正名)은 바로 좋은 언어를 쓴다는 말이다.


삶이보이는창 137호, 봄호를 읽으면서 우리에게 봄이 온다는 것은 바로 좋은 언어를 쓰는 사회라는 생각을 한다.


좋은 언어가 우리를 봄으로 이끈다. 봄은 좋은 언어의 세상이다. 그 점을 명심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