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긴 시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이 역시 시를 좋아하는 태도는 아니겠지만.


  시는 짧아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다. 길면 굳이 왜 시로 쓰나 하는 생각도 하고.


  하지만 어쩔 수 없이 길어야 하는 시도 있다. 짧게 끝날 수 없는 시들.


  김혜순 이번 시집은 길다. 시들도 길지만, 시가 계속 연결이 되고 있다. 그렇다고 소설처럼 인물, 사건, 배경이 뚜렷하지도 않다.


  흐릿한 가운데 긴 시를 읽어나가야 한다. 시를 읽다가 길을 잃기도 한다. 당연한 일이다. 시인이 써놓은 시들이 독자에게 다가갈 때 어떤 시들은 곧장 다가오고, 어떤 시들은 빙빙 에둘러 다가오고, 어떤 시들은 아예 다가오지 못할 때도 있다.


이번 시집, 그냥 흐릿하다. 명확하지 않다. 그럼에도 무언가를 계속 생각하게 한다. 무엇을 생각하게 할까? 두 단어에서 생각이 더 나아가지 않았다. 


두 단어에서 시집을 관통하는 무엇을 얻고자 했으나 역시 길을 잃었을 뿐이다.


두 단어는 '새하다'와 '환상통'이다.


'새하다' 무슨 뜻인지 모른다. 새는 동물,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는 날개 달린 동물을 의미한다. 그런데 보통 새가 되다라는 말을 쓰지, 새하다라는 말은 쓰지 않는다. 되다라는 수동형을 하다라는 능동형으로 바꾸었다.


그렇다면 새처럼 자유롭지 못한 삶을 거부한다는 의미로, 주체적으로 새 삶을 찾겠다는 의미로 '새하다'라는 말을 썼다고 생각해야 하는데, '새하다'라는 말을 했음에도 시집에는 능동적, 주체적인 강함을 느끼기 보다는 상실, 아픔 등을 느끼게 된다. (나만 그런가?)


그래서 자연스레 '환상통'이란 말에 끌리게 된다. 환상통이란 있던 것이 사라졌을 때, 없는 데도 마치 있는 것처럼 통증을 느끼는 증상을 말한다. 날개 환상통이란 날개가 없음에도 마치 있는 것처럼 통증을 느낀다고 볼 수 있다.


날개가 있었다? 새하다 이전에 이미 새였다는 말이다. 새였다가 날개를 잃었다. 그리고 그 날개를 잃었기에 환상통을 겪는다. 자신이 날개가 있었다는 사실을 의식하고 있으므로.


날개가 있다는 것은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의미. 날개를 잃었다는 것은, 환상통으로 말해지듯 속박 상태에 머물렀다는 것.


이럴 때 환상통을 느끼면 자신이 날개 있었던 시절을 깨닫고, 그 날개 없음이 당연한 것이 아님을 인식한다는 말이다.


날개 없음이 당연하지 않다면 날개를 달아야 한다. 다시 새가 되어야 한다. 새해야 한다. 그렇게 결핍의 상태에서 충만의 상태로 나아가고자 한다.


하지만 그 길은 결코 쉽지 않다. 날개를 이미 잃었기 때문이다. 날개가 있었을 때보다 더욱 힘든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새할 수가 있다. 이것이 누구의 삶인가?


새하는 존재를 찾아가는 여정. 새하는 존재들이 있음을 보여주는 여정. 그것이 바로 김혜순의 시집일 수 있다. 


첫시 제목이 '새의 시집'이고, 첫구절은 이렇게 시작한다.


'이 시집은 책은 아니지만 / 새하는 순서 / 그 순서의 기록' 

...

결단코 새하지 않으려다 새하는 내가

결단코 이 시집은 책은 아니지만 새라고 말하는 내가


이 삶을 뿌리치리라 / 결단코 뿌리치리라


물에서 솟구친 새가 날개를 터는 시집

(김혜순, 날개 환상통, 문학과지성사, 2023년 초판 8쇄. '새의 시집'에서)


내게는 여전히 흐릿한 시집이다. 시들이다. 많은 말들 사이에서 길을 잃은 시집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길 잃음 속에서 두 단어를 지향점으로 삼아 나아간다.


'새하다'와 '환상통' 


잃어버렸음을 깨닫는 일. 잃어버렸으므로 다시 찾아야 함을 아프게 꼬집는 시. 김혜순의 '날개 환상통'이 아닌가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