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13호 : 집 인문 잡지 한편 13
민음사 편집부 엮음 / 민음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


사람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요소를 '의식주'라고 한다. 옷과 밥과 집. 이 중에 '집'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집이란 무엇인가를 말하지 않는다. 우리가 생각하는 집은 사람이 거주하는 장소를 의미하겠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아파트'로 대변되는 거주 공간이겠지만, 이 책은 그러한 집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는다.


물론 아파트와 비슷한 주거 공간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왜냐하면 그러한 주거 공간을 마련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이다. 전세 사기를 당한 사람들, 난개발로 쫓겨난 사람들, 최소한의 주거 공간을 마련하지 못해 길거리를 전전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주거 공간에 대해서도 이야기해야 한다. 쪽방촌과 전세, 또 집을 마련하지 못하는 청년 세대들에 대한 이야기가 이 책에 실려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여기에 집의 범위를 넓힌다. 집은 우리 몸일 수도 있다. 종교 생활을 하는 공간일 수도 있다. 죽음을 앞둔 사람들이 자신의 몸을 의탁하는 장소일 수도 있다. 또한 지구일 수도 있다. 


이렇듯 이 책에는 집에 관한 다양한 글들이 실려 있다. 후쿠시마에 어쩔 수 없이 살고 있는 주민들 이야기도 있다. 과연 그들이 살고 있는 집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삶의 끝자락에 있는 사람들이 머무는 공간인 호스피스 병원은 또 어떤 의미가 있을까? 


집은 우리 몸을 머무르게 하는 데서 멈추지 않고 우리 마음까지도 받아들이는 장소다. 그런 장소는 누구나 지닐 권리가 있다. 그래서 국가는 누구나 자신이 머물 공간을 지닐 수 있게 해야 한다. 그것이 국가의 존재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집은 투자의 대상이 된 지 오래다. 돈으로 환산되는 사회에서 돈이 없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주거 권리조차 누리기 힘들다.


점점 낮은 곳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다.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는데, 수입은 그에 따르지 않고, 기껏 살고 있던 낡고 허름하지만 싼 집들은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철거되어 버린다.


여기에 빚을 내서 전세로 얻은 집은 사기를 당해 전세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전세금을 받지 못하면 어디로 갈 곳이 없다. 빚더미에 올라앉게 된다.


이렇게 내몰리는 삶. 그런 내몰리는 삶이 아닌 집을 기반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그런 사회가 되어야 하는데...


읽으면서 마음이 아픈 글들이 많았다. 집에 관한 현실은 여전히 어두웠으므로. 


읽으면서 존 버거의 글이 생각났다. 바로 집에 관한 이 글. 이렇게 세상의 중심인 집. 누구나 그 세상의 중심에서 아래로 위로, 앞으로 뒤로 나아갈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원래 집이란 말은 세상의 중심을 의미했다. 지리적인 아닌 존재론적 의미에서 그랬다. ... 전통 사회에서는 세상의 의미있는 모든 것들은 다 실재였고, 그 세상의 밖에는 위협적인 혼돈이 존재했다. ... 집이 없으면 모든 것은 파편일 뿐이었다.'

(존 버거, 그리고 사진처럼 덧없는 우리들의 얼굴 내 가슴, 열화당. 2004년. 7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