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사진처럼 덧없는 우리들의 얼굴 내 가슴
존 버거 지음, 김우룡 옮김 / 열화당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왠지 믿음이 가는 작가. 그냥 존 버거의 책을 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면 가지고 싶다는 욕망을 일으키는 작가다. 내겐 그런 작가들이 몇 있는데, 외국 작가로는 존 버거, 리베카 솔닛, 어슐러 K. 르 귄, 마거릿 애트우드 등이다. 물론 다른 작가들도 있지만.


이번에 읽은 존 버거의 책은 짧은 글들로 이루어졌다. 1부는 시간이고 2부는 공간에 대한 글들이라고 하는데, 시간과 공간은 우리들 삶을 이루고 있는 기본이라고 할 수 있으니, 시,공간에 대해 느끼는 마음들을 풀어낸 책이 바로 이 책이다.


다른 많은 글들을 언급할 필요도 없이, 이 책에서 내 마음을 사로잡은 글은 집과 시에 대한 글들이다.


'원래 집이란 말은 세상의 중심을 의미했다. 지리적인 아닌 존재론적 의미에서 그랬다. ... 전통 사회에서는 세상의 의미있는 모든 것들은 다 실재였고, 그 세상의 밖에는 위협적인 혼돈이 존재했다. ... 집이 없으면 모든 것은 파편일 뿐이었다.

  집이 세상의 중심인 까닭은 그곳에서 수직과 수평의 선이 교차하기 때문이다. 수직선은 위로는 하늘로 아래로는 땅으로 향하는 하나의 길이다. 수평선은 다른 곳을 향해 가로질러 가는 땅 위의 모든 길을 달린다. 따라서 집은 하늘의 신과 또 땅 속의 죽은 이들과 가장 가까운 장소이다. 이런 가까움에 의해 신에의 접근과 앞서 죽어 간 이들에의 접근을 약속받는다. 또한 집은 지상에서의 모든 여행이 시작되는 곳임과 동시에 희망을 가지고 되돌아오는 곳이기도 하다.' (72-73쪽)


그렇다면 집이 없는 사람들은 어떨까? 버거의 말에 동의한다면 집이 없다는 것은 하늘과 땅으로 향하는 길을 잃은 것이며, 시작과 끝을 함께 하는 장소를 잃은 것을 뜻한다.


집을 잃은 사람들의 상실. 그것은 단지 집이라는 물질을 잃었다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바로 삶을 잃었다는 말이다. 그래서 집은 사람들에게 중요하다.


이는 시간과도 연결이 된다. 하늘과 땅에 연결이 되는 수직선은 시간과도 관련이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하늘을 보며 살던 인간이 땅으로 돌아가게 되니 말이다. 그렇다면 인간 삶의 순환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말과 집이 잃었다는 말이 비슷해지니, 집은 무엇보다도 인간 삶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사랑의 반대는 미움이 아니라 서로 떨어짐이다. 사람과 미움은 그 열정이 서로 함께 한다는 점에 공통점이 있다. 사랑하는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과, 미워하는 사람은 또 그렇게 미워하는 사람과, 그런 열정들은 떨어짐 혹은 분리에 의해 시험받는다. 공간이 벌어지고 분리가 존재의 조건이 되자마자 사랑은 이 분리를 시험한다. 사랑은 모든 종류의 거리를 없애는 것을 목적한다.' (112쪽)


이 말을 집에 적용하면, 집에서 함께 사는 사람들은 사랑과 미움을 함께 지니고 있다. 그럴 수밖에 없다. 가끔 자신이 미워질 때도 있는데, 자신과 다른 사람임에랴. 하지만 사랑과 미움은 한 집이라는 같은 장소에 있을 때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언제나 해결될 수 있다. 미움 역시 사랑의 다른 이름이라고 하는 이유는 그것이 함께 있기 때문이다.


버거는 '사랑은 모든 거리를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한다'(113쪽) 한다. 그렇다. 사랑은 나와 남의 거리를 최대한 좁히는, 어쩌면 그 거리를 아예 없애려는 마음인지도 모른다. 


이 거리 없음이 바로 '시'다. 


'언어야말로 잠재적으로 인간의 유일한 집인 동시에 인간에게 적대적일 수 없는 유일한 주거지이다. 산문의 경우, 이 집은 광대한 영토, 철도와 도로, 고속도로 등을 통해 가로지르는 하나의 커다란 나라이다. 그러나 시의 경우 이 집은 하나의 단일한 중심, 단일한 목소리로 집중된다. 그리고 이 목소리는 집에 대한 선언이고 동시에 집에 대한 반응이다.' (120쪽)


마치 하이데거가 말한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는 말을 연상하게 하는 말이다. 자, 집이 인간에게 필수불가결한 물질적 요소라면 언어는 또다른 면에서 인간에게 필수적인 요소다. 언어가 집이 될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한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산문보다는 시가 더 집과 가깝다고 한다. 인간이 살 수 있는 광대한 영토를 산문에 비유한다면, 이는 산문은 집을 떠나서 다시 집까지 돌아오는 과정에 겪는 일들을 언어로 표현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에 시는 바로 내가 있는 집이라고 비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집을 떠나는 것이 아니라 집 밖의 존재들을 집 안으로 불러들이는 역할을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시라고 할 수 있다. 집 밖에 있는 수많은 거리를 집 안으로 들여 없애는 것. 그러니 시는 곧 집이다.


그래서 버거는 '시가 때때로 주장하는 자신의 불멸성은 ...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든 경험을 언어가 껴안을 수 있다고 하는 믿음에서, 언어에게 스스로를 내맡기기 때문이다. ...시는 정확히 미래와 현재 그리고 과거의 공존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하나의 약속이 미래뿐만 아니라 현재나 과거에도 적용된다면, 그 약속은 오히려 확신이라 불러야 하리라.' (30쪽)고 한다.


이렇게 시 속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거리가 없어진다. 시는 그래서 앞에서 버거가 말한 집과 같아진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자기만의 집을 마련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느끼는 절망을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집이 이런 의미를 지니고 있다면 적어도 사람들이 생활할 수 있는 집은 마련할 수 있는 사회여야 하지 않을까? 주택정책이 여기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 이유는 사람들이 사람답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국가의 의무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무를 등한시한 국가(구체적으로는 국가의 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하는 정부)는 국민을 위한다는 국가가 될 수 없으니...


이렇게 존 버거의 짧은 글들을 모아 놓은 이 책을 통해서 다시금 집의 중요성, 주택정책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