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가의 열두 달
카렐 차페크 지음, 요제프 차페크 그림, 배경린 옮김, 조혜령 감수 / 펜연필독약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원 가꾸기에 관한 전문적인 책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정원 가꾸는 사람이 겪게 되면서 느끼는 점을 쓴 책이다. 수필이라고 보면 된다. 그런데 참 재미있다.


정원에 관한 책을 이렇게 재미있게 쓸 수도 있다니 연신 감탄하면서 읽게 된다. 야, 차페크라는 사람, 정말 대단하구나 하는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정원 가꾸기를 1월부터 12월까지 계절에 따라서 이야기하면서, 그때 그때 필요한 식물들에 대해서도 이야기하지만, 그때 그때 느끼는 감정들이 정말 절묘하게 잘 표현되어 있다.


한번 보고 말 책이 아니라 두고두고 읽어도 재미있겠단 생각이 드는 책이다. 게다가 식물을, 아니 흙을 가까이 두고 싶어지는 마음이 들게 하니..


우선 차페크는 '인간은 손바닥만 한 정원이라도 가져야 한다. 우리가 무엇을 딛고 있는지 알기 위해선 작은 화단 하나는 가꾸며 살아야 한다.'(154쪽)고 한다.


주거지의 형태가 대부분 아파트인 우리나라에서도 베란다에 화분을 놓고 또는 아주 작은 텃밭을 가꾸는 사람들이 있다. 그만큼 인간은 흙과 식물과 떨어져 살기 힘들다는 말인데...


차페크는 그 점을 명료하고도 강하게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화단을 가꾸다 보면 '구름들조차 우리 발밑의 흙만큼 변화무쌍하지도 아름답지도 경외할 만하지도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154쪽)고 한다.


그렇다. 흙에는 온갖 생명체들이 산다. 흙은 또 하나의 우주다. 그런 우주를 날마다 보고 접촉한다면 우리는 우주의 경외를 삶 속에서 느끼게 되는 것이다.


흙을 만지면서 마음의 안정을 찾는 사람들도 있으니, 하다못해 작은 화분 하나라도 집에 들여놓고 식물을 가꾸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이 책을 읽다 보면 곧장 화원으로 달려가고 싶은 욕구가 생긴다.


그만큼 차페크가 정원 가꾸기의 좋은 점들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물론 그는 일방적인 찬양을 하지는 않는다.


정원을 가꾸면서 얼마나 많은 실수를 하는지, 또 몸은 얼마나 힘든지를 재미있게 표현하는 장면이 많다. 특히 사람의 신체 중에서 등뼈가 가장 쓸모가 없다고 주장하는 부분에서는 웃음이 터져 나오게 된다.


이 부분을 보라.


'만약 정원가가  적자생존의 법칙에 따라 진화해온 생물이라면 무척추동물이 되었을 게 분명하다. 정원가에게 등뼈란 하등 쓸모가 없으니, 이따금 "아이고, 허리야!" 하며 몸을 일으킬 때 말고 등뼈가 쓰이는 데가 어디 있을까? 

  다리로 말할 것 같으면 여러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다. ... 손가락은 구멍 뚫기에 안성맞춤이고, 손바닥은 흙덩어리를 부수거나 곱게 갈 때 쓰기 좋으며, 머리는 줄기와 버팀대를 지지하기에 좋다. 그러나 등만큼은 정원가의 성미대로 구부릴 수가 없다. 한낱 지렁이도 등뼈 없이 자유자재로 노닐 건만, ...'(57-58쪽)


하하, 정원이 아니더라도 작은 텃밭을 가꿔본 사람은 안다. 허리를 구부리고 일을 할 수밖에 없으며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얼마나 허리가 아파지는지. 그러니 이런 표현에 절로 웃음이 나올 수밖에 없다.


한 달 두 달, 달이 지나면서 차페크는 정원가가 해야 할 일, 또 어떤 마음인지를 표현해나가고 있는데, 여기에 정원가를 비꼬는 표현도 나오고, 또 그럼에도 식물들, 흙이 주는 고마움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결국 흙과 식물과 함께하면서 어떤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데, 겨울이 다가오면서 꽃과 잎을 다 떨어뜨린 식물들을 보면서 차페크는 과거가 아닌 미래를 본다. 즉 미래는 현재에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미래란 우리 앞에 놓인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 싹눈 속에 자리하고 있다. 미래는 이미 우리 곁에 있다. 지금 우리 곁에 자리하지 않은 것들은 미래에도 우리와 함께할 수 없다. 단지 땅속에 숨어 있기에 새싹을 보지 못하듯, 우리 내부에 자리하고 있기에 우리는 미래를 보지 못하는 것이다.'(185-186쪽)


혹독한 겨울이 와도 식물은, 흙은 이미 그곳에서 미래를 품고 있다. 그러니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미래를 아직 오지 않은 것으로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우리가 잘 보면 미래는 바로 현재에 있다. 겨울이 오는 12월에 봄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이미 봄이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는 차페크의 글을 보면서, 그래, 미래란 바로 현재에서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생각을 다시 하게 된다.


정원가의 열두 달. 정원 가꾸기에 관한 책이 아니다. 정원을 가꾸면서 느꼈던 삶 가꾸기에 대한 책이라고 보는 것이 더 좋겠다. 그것도 낄낄거리면서 읽을 수 있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