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 제목만 보고, 우리들 서정(사랑과 비슷한 우리들 마음을 울리는 그러한 감정들이라고 좁게 서정을 생각하며)을 노래하는 시들을 모아놓았나 했다. 그런데, 시집 제목이 된 시는 그게 아니다. 서정시를 쓰는 시인도 감시를 받아야 했던 시절.


  감시 목록 파일 이름이 서정시였다는 거다. 살벌한 시대에는 서정시조차도 저항시가 되는 세상이니.


  아니, 서정을 노래하는 시들은 독재에 대항하는 시들일 수밖에 없다. 독재는 개인의 서정을 인정하지 않으니까.


  그런 서정시들이 널리 퍼진 사회에는 독재가 깃들 수 없으니까. 그러니가 서정시는 독재에 대항하는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


이 시집을 읽으면서 왜 이리 죽음이 많이 나올까 했다. 역사적인 사건으로 인한 죽음들과 시인 개인사에 얽힌 죽음으로 읽힐 수 있는 시들까지. 세상이 죽음으로 가득 차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시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시집에서 두 단어가 마음 속에서 자리 잡았다. '기슭'이라는 말과 '대각선'이라는 말. 두 말의 공통점을 '경계'에서 찾는다. 이곳과 저곳을 이어주는 곳이자, 이곳과 저곳을 나누는 곳. 그것이 바로 기슭과 대각선 아니겠는가.


그렇다면 죽음이 다수를 이루고 있는 이 시집에서 기슭과 대각선을 핵심으로 본다면, 죽음의 대각선 너머, 또는 죽음의 기슭에는 삶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사람의 삶을 사각형이라고 하고 대각선을 그어보면, 한쪽은 삶이고 한쪽은 죽음이리라. 그리고 삶과 죽음은 사람에게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될테고. 이 대각선은 삶 쪽에서는 죽음과 이어지는 기슭이 될 것이고, 죽음 쪽에서는 삶과 이어지는 기슭이 될 테다. 


결국 기슭은 대각선이다. 그리고 대각선은 우리가 쉽게 볼 수 없는 것들을 대비해서 볼 수 있게 해준다. 꼭 삶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이러한 기슭에 처해 있는 경우가 많다. 기슭에 있을 때 어떠해야 할까.


무섭다고, 두렵다고 눈을 감아야 할까? 그냥 벌벌 떨면서 그 자리에 못 박힌 듯 가만히 있어야 할까? 아니다. 시인이 시집에서 수많은 죽음을 이야기한 것은 죽음의 대각선 너머에 있는 삶을 이야기하기 위해서다. 기슭을 이야기하는 것은 기슭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슭에서 행동을 하라는 것이다.


'기슭에 다다른 당신은'(90-91쪽)이라는 시에서 시인은 이렇게 말한다.


'당신은 / 기슭에 다다른 당신은 / 발을 멈추고 구름에게라도 물었어야 했다 / 산을 내려오는 산에게 / 길을 잃고 머뭇거리는 길에게 물었어야 했다'('기슭에 다다른 당신은' 3연)


그러면서 '모든 무서움의 시작 앞에 눈을 감지는 말았어야 했다'(기슭에 다다른 당신은' 8연 2행)고 한다. 


'대각선의 길이'(118-119쪽)라는 시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어디론가 불려가는 것들 / 불려가면서 다른 존재를 불러오는 것들 / 종종걸음으로 / 수평선과 수직선을 가로질러 아주 멀리 가는 것들 / 짧은 궤적을 남기며 사라지는 것들' ('대각선의 길이' 7연)


이것이 '기슭과 대각선'이 지닌 공통점이라고 생각하는 이유가 된다. 그렇다면 동전의 양면처럼 한 면을 볼 때 다른 면을 볼 수 없게 되는데, 이 기슭과 대각선은 한쪽 면과 다른쪽 면을 동시에 볼 수 있게 해준다고 할 수 있다.


둘 다 볼 수 있을 때 선택은 우리 몫이다. '하느님은 부사를 좋아하신다'(100-101쪽)는 시도 있지만, 기슭과 대각선을 생각하는 우리들은 '부사'(꾸밈말)가 아닌 '동사'를 좋아해야 한다. 경계에서는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시집의 마지막 시('서른세개의 동사들 사이에서')는 결국 기슭과 대각선에 있는 우리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서른세개의 동사들 사이에서


  빛의 옥상에서

  서른세개의 날개를 돌려라

                   

  오다 가다 오르다 내리다 흐르다 멈추다 녹다 얼다 타오르다 꺼지다 보다 듣다 생각하다 말하다 삼키다 뱉다 잡다 놓다 울다 웃다 주다 받다 묻다 답하다 밀다 당기다 열다 닫다 떠오르다 가라앉다 부르다 사라지다 넘다


  서른세개의 동사들 사이에서

  하나의 파도가 밀려가고 또 하나의 파도가 밀려올 것이니

  세상은 우리의 손끝에서 부서지고 다시 태어날 것이니


  기다리지만 말고 서른세개의 노를 저어 찾아라

  세계의 손끝에서 마악 태어난 당신을


(* '서른세개' 시인이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다.)


나희덕, 파일명 서정시, 창비. 2021년. 초판 6쇄. 12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